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성인 소비자의 인식 및 관련 요인
Adult consumers’ perception of plant-based meat substitut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Objectives
We ai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experience, consumption, and perception of plant-based meat substitutes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to identify associated factors.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conducted in Korea, 410 adult consumers were surveyed regarding their eating habits, experience with and consumption of plant-based meat substitutes, and their intentions and perceptions of these product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Approximately 84% of participants had heard of plant-based meat substitutes, most commonly through mass media and social media. Overall, 65.12% reported having consumed plant-based substitutes, with higher consumption observed among older and more health-conscious individuals. The most common reason for consumption was curiosity about new foods (36.33%), whereas the primary reason for non-consumption was lack of opportunity (61.54%). Additionally, 77.32% of respondents indicated willingness to try plant-based substitutes, with taste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purchasing decisions. Perception of plant-based meat substitutes was rated 3.82 out of 5, with significantly higher awareness among individuals aged 50–64, married individuals, housewives, graduate students or graduates, and those with irregular meal times or infrequent dining out.
Conclusion
Older, married, more educated, and health-conscious individuals who dine out less frequently tend to have higher perception scores for plant-based meat substitutes, along with greater experience and stronger future use intention.
INTRODUCTION
전세계적으로 인구증가에 따라 식량 부족 문제, 동물복지 및 윤리성 문제, 건강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증가하고 관련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1-3]. 세계 육류 대체식품의 유형별 시장은 식물 단백질 기반 대체육 시장이 전체 육류 대체식품 시장 규모의 87.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4]. 또한 2026년에는 세계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 시장 규모가 15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었다[5]. 국내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 시장 규모는 2016년 4,760만 달러이며, 2017년부터 연평균 15.7% 성장하여 2026년에는 2억 1,6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4].
식품의 개발과 판매, 식문화 변화는 소비자 인지와 인식, 선택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이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식품의 속성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연령, 성별, 문화적 배경 등 다양한 특성은 식품의 수용성이나 선호도,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6]. 따라서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파악하는 것은 소비자들이 제품의 맛, 질감, 영양, 가격 등에서 어떤 부분에 가치를 두는지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 요구를 반영한 제품과 정보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 정책 개발에도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7].
대체육 시장이 확대되면서 국내에서는 주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기술적 발전을 주요 주제로 다루고 있으며,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지속가능성과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하면서 앞으로의 제품 개발 동향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4, 8].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건강, 환경, 지속가능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특히 맛과 식감이 소비자 선택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보고되었다[9, 10]. 현재 국내외에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구매 의향, 섭취 동기를 다룬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설문지 개발과 관련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만[11-14], 소비자 특성에 따른 인식차이와 관련 요인을 통합적으로 분석한 국내 연구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인식과 구매 동기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며, 이를 통해 소비자 맞춤형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제품 개발과 시장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경험 및 소비 실태와 소비자 특성에 따른 인식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관련 요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성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의 제품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소비자 특성을 반영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METHODS
Ethics statement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KNU_IRB_2023-093). Participants were informed of the study purpose, research procedures, anticipated benefits, potential risks, and safety measures. Written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all participants. All procedure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applicable ethical guidelines.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성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단면연구로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TROBE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보고지침(https://www.strobe-statement.org/)에 따라 기술하였다.
2. 조사대상 및 기간
본 조사는 19세–64세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23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였다. 참여자의 소개 등으로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사람을 대상자를 포함하고 눈덩이 표집 방법을 통해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Google Forms)를 실시하였다. 총 414명의 조사대상자가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연구에 동의하지 않는 대상자 4명을 제외하고 최종 410명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3. 조사내용 및 방법
본 연구의 설문지는 선행연구[11-14]를 참고하여 연구 목적에 맞는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1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수정한 후 최종 완성하였다. 설문 문항은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인식,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경험 및 소비 실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소비 의사,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으로 분류하여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결혼 유무, 직업, 교육수준, 건강 관심 및 식습관[불규칙한 식사시간, 편식, 과식, 잦은 외식(배달음식 포함), 잦은 인스턴트식품 섭취, 잦은 결식, 짜게 먹기, 채식주의]의 7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경험 및 소비 실태는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해 들어본 경험, 들어본 경로, 섭취 경험, 섭취 빈도, 섭취 장소, 섭취하는 이유, 섭취하지 않는 이유의 7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소비 의사는 앞으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소비 의사,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 구매 시 가장 중요한 요인과 구매하지 않을 시 가장 중요한 요인의 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인식도 문항은 선행연구[11, 12]를 참고하여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이 친환경적인지, 동물복지에 도움이 되는지, 영양적으로 우수한지, 충분한 식이섬유를 얻을 수 있는지, 충분한 단백질을 얻을 수 있는지의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인식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한 후 ‘매우 그렇다’는 5점, ‘그렇다’는 4점, ‘보통이다’는 3점, ‘그렇지 않다’는 2점, ‘전혀 그렇지 않다’는 1점으로 점수화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인식이 좋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4. 통계분석
본 연구의 모든 통계분석은 SAS version 9.4 (SAS Institute Inc.)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인식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경험 및 섭취 실태, 구매 및 섭취 의사의 경우에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성별, 연령, 건강 관심 정도에 따른 실태와 일반사항 및 식습관 유무에 따른 인식도 차이는 비연속변수일 경우 chi-square test 및 Fisher’s exact 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으며, 연속변수의 경우 두 군간 차이는 unpaired t-test와 3군 이상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한 후 유의성이 나타났을 때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사후검정하였다.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인식도 5문항의 일치도는 Cronbach’s α 분석을 실시하여 α값이 0.7 이상일 때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으며[15], 본 연구의 Cronbach’s α값은 0.78이었다. 모든 통계의 유의성 검정은 P < 0.05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RESULTS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은 Table 1과 같다. 전체 대상자 중 20–29세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성별에 따라 남성은 50–64세, 여성은 20–29세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여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01). 결혼 여부에서는 남성은 기혼자, 여성은 미혼자의 비율이 높았으며(P < 0.001), 직업에서는 남녀 간 분포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남성은 직장인과 자영업자, 여성은 학생과 주부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P < 0.001). 교육 수준은 전반적으로 대학교 졸업 이상이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2. 건강 관심과 식습관
조사대상자의 건강 관심과 식습관은 Table 2와 같다. 전체 대상자에서 약 69%가 건강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성별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식습관에서는 불규칙한 식사시간이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도 잦은 외식, 과식, 잦은 인스턴트식품 섭취 등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3.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 경험 및 소비 실태
조사대상자의 성별, 연령, 건강 관심에 따른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경험 및 소비 실태는 Table 3과 같다.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84.39%로, 건강에 관심 있는 대상자가 더 높았으며(P < 0.05), 주로 접한 경로는 대중매체였고, 남성은 대중매체, 여성은 SNS에서 더 많이 접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1). 섭취 경험은 65.12%로, 연령이 많을수록 섭취 비율이 높았으며(P < 0.01), 섭취 빈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한 달에 한 번 이상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다(P < 0.05). 섭취 장소는 연령대별로 20–29세는 음식점, 30–49세는 슈퍼마켓, 50–64세는 음식점에서 주로 섭취하였다(P < 0.001). 섭취 이유로는 새로운 음식을 시도하는 것을 좋아해서(36.33%)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새로운 음식을 시도하는 것을 좋아하는 비율이 낮게 나타나고, 친환경적이어서의 비율이 높았다(P < 0.001). 섭취하지 않는 이유는 섭취할 기회가 없어서(61.54%)가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는 맛이 없거나 이점을 잘 몰라서 라는 응답이 있었다.
4.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 소비 의사
조사대상자의 성별, 연령, 건강 관심에 따른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소비 의사는 Table 4와 같다.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소비 의사는 317명(77.32%)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연령과 건강 관심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20–29세 66.48%, 30–49세 80.91%, 50–64세 90.68%로 나타났고(P < 0.001), 건강 관심이 없는 대상자(68.75%)가 관심 있는 대상자(81.21%)보다 낮았다(P < 0.01).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을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맛(52.68%), 영양(24.15%), 식품 원료(8.78%), 가격(7.32%), 환경(6.34%), 브랜드(0.49%), 편의성(0.24%) 순이었으며, 연령에 따라서 영양을 중요시하는 비율이 20–29세, 30–49세, 50–64세 각각 15.93%, 20.00%, 40.68%로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또한 건강에 관심 없는 대상자는 맛(65.63%), 영양(13.82%), 가격(8.59%) 순이었으며, 건강에 관심 있는 대상자는 맛(46.81%), 영양(29.08) 순으로 응답 비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을 구매하지 않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맛(48.05%), 가격(24.88%), 영양(14.15%), 식품 알레르기(6.10%), 환경(5.61%) 순이었으며, 남자는 맛(54.11%), 가격(17.12%), 영양(17.12%) 순이었고 여자는 맛(44.70%), 가격(29.17%), 영양(12.50%)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연령에 따라서 가격을 중요시하는 비율이 20–29세, 30–49세, 50–64세 각각 29.67%, 23.64%, 18.64%로 낮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1), 건강에 관심 없는 대상자는 맛(58.59%), 가격(25.00%), 영양(7.03%) 순이었고, 관심 있는 대상자는 맛(43.26%), 가격(24.82%), 영양(17.38%)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5.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인식도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에 따른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인식도는 Table 5와 같다. 전체 대상자의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인식도는 5점 만점에 3.82점이었으며,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연령에 따라 50–64세가 4.0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30–49세(3.74점), 20–29세(3.73점) 순으로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결혼 여부에 따라 기혼자가 3.96점으로 미혼자의 3.71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 0.001). 직업에 따라 주부가 3.9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자영업자(3.97점), 직장인(3.82점), 학생(3.69점), 무직 및 기타(3.68점) 순으로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교육 수준에 따라 대학원 재학 또는 졸업이 3.94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고등학교 졸업(3.92점), 대학교 졸업(3.75점)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조사대상자의 식습관에 따른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 인식도는 Table 6과 같다. 인식도의 전체 점수는 식사시간이 불규칙한 대상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3.90점 vs. 3.75점, P < 0.05), 외식을 자주 하지 않는 대상자가 자주 하는 대상자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3.89점 vs. 3.69점, P < 0.01).
DISCUSSION
본 연구에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소비자 경험, 섭취 실태, 구매 및 섭취 의사, 인식도를 조사하고 소비자 특성에 따른 차이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84.39%로, 건강에 관심 있는 대상자가 더 높아 건강에 대한 관심도와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경험 간에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대상자들은 주로 대중매체와 SNS를 통해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을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식육가공품 소비행태조사[16]에서 전체 500명의 대상자 중 대체육을 인지하고 있는 비율은 56.2%로 나타나서 본 연구보다 낮은 과반 정도의 소비자가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해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조사에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을 들어본 경로는 주로 신문/인터넷 기사(32.0%), TV/유튜브(19.6%), TV/포털사이트/유튜브 등의 광고(18.5%)로 대중매체와 SNS가 주요 정보 경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다양한 특성의 소비자를 겨냥한 정보 전달 매체가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경험과 소비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섭취 장소는 30–49세가 슈퍼마켓이나 대형마트를 통한 섭취 비율이 높았는데, 이는 이 연령대가 경제활동이 활발한 시기로 안정된 구매력을 바탕으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을 선택할 여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 섭취 이유는 20–29세에서 새로운 음식을 시도하는 것을 선호하는 비율이 42.57%로 가장 높았다. Knaapila 등[17]은 핀란드 20–39세 젊은 세대의 약 41%가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을 정기적으로 섭취하고 있으며, 43%는 섭취를 시도한 적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Michel 등[18]은 유럽 소비자들의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소비 동기를 분석했을 때,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주된 소비 동기는 건강과 환경의 문제로부터 비롯되었으며, 특히 젊은 세대에서 높은 관심을 보였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젊은 층이 변화에 대한 수용성과 새로운 식품에 대한 개방성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이유는 섭취할 기회가 없어서가 61.54%로 가장 높았는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조사에서는 대체육을 알고 있으나 구입하지 않은 이유로 구입할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아서라는 응답(47.9%)이 가장 높게 보고되었다[12]. 이는 섭취 기회의 부족이 주요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이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실제 섭취 빈도는 낮아 섭취 기회와 소비 확대를 위한 식품 접근성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나이가 많을수록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이용 의사가 높았고 건강 관심이 있는 대상자가 높았다. Grasso 등[19]은 65세 이상 노인 1,825명을 대상으로 식물성 단백질의 수용성을 조사했을 때, 전체 대상자의 58%가 식물성 단백질을 이용할 의사를 보여 높은 수준이라고 보고하였다. 이는 고령층에서 식물성 단백질 및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친숙함과 높은 건강상의 긍정적 인식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고령층은 건강 유지와 영양 충족을 위해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한 대체식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고령층의 생리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영양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지속적인 개발과 함께 건강에 미치는 이점을 강조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맛(52.68%)이었으며, 구매하지 않는 가장 중요한 요인도 맛(48.05%)이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을 구매하거나 구매하지 않는 요인으로 맛을 가장 중요 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이에 따라 영양을 중요시하는 비율이 20–29세 15.93%, 30–39세 20.00%, 50–64세 40.68%였으며 건강 관심이 있는 대상자에서 높게 나타나 나이가 많을수록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영양적 가치를 더 중요시한다는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구매하지 않을 때 여자가 남자보다 가격을 중요시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가정 내에서 식재료 구매를 주도하는 여성들이 경제성을 더 고려하는 소비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Han 등[13]은 소비자가 콩고기를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으로 맛(46.9%)이 가장 높았으며, 콩고기를 구매할 의향이 없는 소비자의 가장 큰 요인도 역시 맛과 식감 부족(68.1%)이 가장 높다고 하였다. Hoek 등[9]은 네덜란드 소비자들의 육류 대체식품 소비를 조사한 결과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 선택 시 소비자들은 맛, 텍스처, 가격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평가하였으며, 이 세 가지 요소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맛은 소비자의 요구가 높은 요인이지만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 구매의 장애물로도 작용하므로 대체육 제품의 시장 확장에 맛의 개선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맛과 식감을 개선한 제품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전체 대상자의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인식도는 5점 만점에 3.82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인식도는 조사대상자의 나이, 결혼 유무, 직업, 교육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50–64세, 기혼자, 주부, 대학원 재학 또는 졸업이 가장 높았다. 인식도의 세부 항목별로 보면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은 친환경적이다’는 기혼자, 주부, 대학원 졸업자가 높았으며,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은 동물복지에 도움을 준다’는 여자와 대학원 졸업자가,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은 영양적으로 우수하다’는 50–64세, 기혼자, 주부가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을 통해 충분한 식이섬유소를 얻을 수 있다’는 50–64세, 기혼자가,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을 통해 충분한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는 50–64세, 기혼자, 주부에서 높았다. Estell 등[11]은 소비자와 영양 전문가의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분석했을 때, 전체 응답자의 56.4%가 식물성 대체육 섭취가 좋은 영양 섭취를 촉진하고 환경친화적이라고 하였으며, 영양 전문가의 74.2%가 식물성 대체육 섭취를 통해 높은 식이섬유를 얻을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을 보고하였다. Siegrist와 Hartmann [20]은 나이, 성별, 교육 수준이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 소비와 관련성이 있으며, 여성, 젊은 나이, 높은 교육 수준을 가진 사람들이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높아 이러한 제품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지만 젊은 층보다 고령층의 인식이 더 높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나이가 많을수록 식품에 대한 경험과 신뢰가 쌓여 대체식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될 수 있고, 과거보다 다양한 식품을 접할 기회가 많아지면서 새로운 식습관을 수용하려는 경향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21, 22]. 앞으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인식과 소비를 확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령대와 생활 방식에 적합한 교육과 홍보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의 식습관에 따라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인식도를 비교하였을 때, 식사시간이 불규칙하거나 잦은 외식을 하지 않는 대상자가 각각 3.90점, 3.8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은 친환경적이다’,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은 영양적으로 우수하다’,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을 통해 충분한 식이섬유소를 얻을 수 있다’,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을 통해 충분한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에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이는 불규칙한 식사 습관이 간편하면서도 건강을 고려한 다양한 식품을 선택하게 되고, 외식을 피하는 사람들이 식품의 성분과 영양정보를 더욱 중요하게 생각해서 나타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Contini 등[23]은 이탈리아 소비자 600명의 70%가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기 위해 식물성 즉석조리식품의 선택을 고려하고, 시간 압박이 식물성 즉석조리식품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앞으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이 다양한 식습관을 가진 소비자들에게 적합하며 건강하고 실용적인 선택지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한 홍보전략과 제품 개발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기존 연구[11, 19]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연령 증가와 건강 관심이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연관된다는 점과 일치한다. 특히 젊은 층은 새로운 음식에 대한 개방성, 고령층은 건강과 영양적 가치 중심의 소비태도를 보여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소비 동기가 연령대에 따라 다르며, 대중매체와 SNS가 주요 정보 경로로 작용하여 정보 확산력이 소비자 인식과 소비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체육 시장과 소비자 층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3, 4]에서 향후 제품 개발 및 홍보 전략은 미래의 젊은 소비자의 특성과 평균수명 증가로 인한 고령 소비자의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Limitations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눈덩이 표집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참여자를 모집하였기 때문에 일부 소비자들의 특성에 따라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인식, 구매 및 섭취실태를 평가한 본 연구 결과를 전체 소비자로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다. 둘째,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인식도를 평가하고 관련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어 조사대상자의 다양한 특성을 조사 및 통제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설문조사에 의한 횡단연구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인식도와 관련 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경험 및 소비 실태와 소비자 특성에 따른 인식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 개발과 관련 산업에 활용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큰 소비자 집단에서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고 관련 요인과의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onclusion
본 연구에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인식은 소비자의 생활 패턴, 건강 관심도, 연령에 따라 다르며, 이러한 소비자 니즈를 고려한 맞춤형 제품 개발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 선택 및 생산자의 제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식물성 육류 대체식품의 특성을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
There are no financial or other issues that might lead to conflict of interest.
FUNDING
None.
DATA AVAILABILITY
Research data is available upon request to th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