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Korean J Community Nutr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OPEN ACCESS

Articles

Page Path
HOME > Korean J Community Nutr > Volume 30(4); 2025 > Article
Research Article
신문기사 속 유치원·학교급식 키워드 및 소비자의 인식도, 건강성, 기호도 조사
강경옥1)orcid, 박채원2)orcid, 장혜자3),†orcid
Survey on consumer perceptions, health benefits and preferences of kindergarten and school foodservices in Korea, including related keywords reported in newspaper: a mixed-methods study
Gyoungok Gang1)orcid, Chaewon Park2)orcid, Hyeja Chang3),†orcid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25;30(4):309-320.
DOI: https://doi.org/10.5720/kjcn.2025.00199
Published online: August 29, 2025

1)전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2)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대학원생

3)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1)Professor,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Jeonju University, Jeonju, Korea

2)Master Student,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3)Professor,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Corresponding author: Hyeja Cha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Dankook University, 119 Dandae-ro, Dongnam-gu, Cheonan 31116, Korea Tel: +82-41-550-3478 Fax: +82-41-559-7567 Email: hjc10@dankook.ac.kr
• Received: July 14, 2025   • Revised: August 14, 2025   • Accepted: August 22, 2025

© 2025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656 Views
  • 19 Download
prev
  • Objective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al culture,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and school foodservice, as well as opinions on its health benefits, has changed significantly. However, research on this topic remains scarce. We conducted a survey in South Korea on consumers’ perceptions, healthiness, and preferences regarding kindergarten and school foodservice.
  • Methods
    With the nationwide cooperation of 17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targeting the parents of kindergarten and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well as upper-grad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keywords in newspaper reports were analyzed using the Big Kinds platform. A total of 532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7.0 (IBM Co.).
  •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rents and students was 40 and 12.5 years, respectively, with 36.4% of the students attending school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The main keywords reported in newspaper articles, as analyzed using the Big Kinds platform, were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food ingredients,” “safety,” and “marine products.”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and school foodservice was very positive, especially regarding the attributes of safe ingredient use (4.44), menu variety (4.29), cafeteria cleanliness (4.31), cleanliness of plates, spoons, and utensils (4.24), thorough hygiene management (4.2), nutritional excellence (4.24), and support for proper eating habits (4.18). The healthiness of school foodservice was highly rated, although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not serving fried foods more than twice a week”. In terms of preference for school meals, the most preferred items were meat side dishes, followed by chicken, noodles, fried food, beverages, and bread. In contrast, soybean paste soup, vegetables, and mixed-grain rice received relatively low preference.
  • Conclusion
    The result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or policies that inform students and parents about the goals of school foodservice and help address common misunderstandings.
학교급식은 1981년에 학교급식법이 제정된 이후 양적으로 뿐 아니라 질적으로 크게 성장해 왔다. 1998년에 초등학교가, 2003년에는 중•고등학교가 100% 급식을 실시하게 되었고[1], 현재 국내 학교급식 참여율은 99.8%로 전 세계에 유래 없는 높은 급식 참여율을 보이고 있다. 한편, 2020년 학교급식법 개정에 따라 원아 수 50명 이상의 유치원급식도 학교급식법의 적용을 받게 되어[2], 어린이의 건강 유지와 신체발달에 기여하고 올바른 식습관 및 식사예절 확립을 도모하고 있다[3]. 2022년 기준으로 학교급식 재정 규모는 약 7조 831억 원이며[4], 식품비 3조 6,382억 원(51.4%), 인건비 2조 5,684억 원(36.2%)으로 인력 고용창출 효과와 농가•식품분야•급식설비업계의 경제 성장에 기여하며, 사회•환경•경제 차원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실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학교급식은 성장기 학생들에게 위생적이고 영양적인 식사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성장발달과 건강 증진을 돕고, 학생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전통 식문화의 계승•발전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교육급식이다[1]. 또한 학교급식은 학생들에게 무상으로 급식을 제공하여 빈부격차 없이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한 끼의 식사를 공급하고,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 농산물우수관리제도)를 포함한 친환경농산물의 지속적인 공급과 소비를 통한 농촌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촉진하며, 학교 텃밭을 이용한 친환경농산물 재배로 지속가능한 식생활 확산을 조장하는 공공성을 띈다[5]. 한 사례로 서울시 자치구와 농촌 지자체가 상호 협약을 맺어 도농상생의 공공급식을 조성하는 한편 학교급식에 건강한 식재료 공급과 농촌지역의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학교급식은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사 제공을 위하여 믿을 수 있고 안전한 식재료의 구매, 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에 근거한 생산공정을 포함하여 사전예방적 차원의 위생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식중독 예방을 위해 교육부는 2001년에 HACCP 방식에 근거한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를 개발한 이래 현재 5차 개정판을 발간하여 학교급식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6]. 학교급식관계자의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가 식품안전 지표로 학교급식 발생 식중독 환자수가 설정되어 있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매년 발표하는 식중독 발생 통계에서 국내 식중독사고의 주요 원인이 학교급식이라는 오해를 야기한다.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제시한 2020-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 따르면 식품안전수준의 선진화 지표는 ‘식중독 예방 관리를 통한 식중독 발생률 증가 예방’이며, 성과목표치를 학교급식 십만 명당 발생 환자수 40명으로 정하고 있다[7].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2022년 식중독 발생건수 331건 중 8%, 환자수 5,501명 중 20%가 학교급식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8]. 이러한 단편적인 사실로 인해 소비자들은 학교급식이 학생 건강 증진에 기여한다는 효과를 인지하지 못하고 오히려 학교급식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갖게 되기도 한다.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에서는 소비자 요구를 반영한 안전한 학교급식을 창출하기 위하여 영양관리기준에 적합한 식사, 영양 및 위생이 확보된 식생활 실천 교육, 매년 학교급식만족도 평가 및 위생안전관리점검을 실시하고 있다[1, 9, 10]. 첫 번째 예시로 학교급식은 영양적으로 균형잡힌 식사 제공을 위하여 학생의 성장 및 건강상태, 활동정도, 지역적 상황 등을 고려하여 영양관리 기준을 설정하고 식사 계획에 반영한다. 계절별로 연속 5일간 학생이 섭취한 식사를 모니터링하여 평균 영양섭취량을 산출하고 영양관리의 적정성을 평가한다. 둘째, 학교에 배치된 영양교사는 학생에게 식생활 교육을 실시하여 식생활 속에서 영양과 위생을 확보하고 식사예절, 한국 식문화 계승과 발전을 유도한다. 이러한 성과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15차시 영양교육을 실시한 연구[11]에서 잘 나타난다. 학생들의 영양지식 및 식품선택과 식품준비 능력이 향상되었고 자아효능감이 개선되었으며, 식생활 실천수준은 교육 전 3.33점에서 교육 후 3.79점으로 향상되었고, 영양표시 확인과 무리한 체중감량을 하지 않는 행동을 보였다. 셋째,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학교급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매년 학교급식 운영 방침을 설정하고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 위생, 영양관리, 식생활 지도 관련 지침을 제시한다. 한 예로 영양교육과 급식, 먹거리 생태전환을 연계하여 채식에 대한 학생들의 생태친화적 인식 강화 및 그린급식 실천, 친환경급식과 교육과정을 연계한 먹거리 생태전환 교육,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실천 등에 관한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다[12]. 선행연구에서 학교급식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학교급식 만족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사, 우수한 식재료의 사용, 위생적이고 안전한 조리, 급식에 관한 적극적인 의사소통, 올바른 식사, 영양 교육 제공 등을 주요 속성으로 설정하고 학생과 학부모 대상으로 학교급식 인식도를 조사하였다[4]. 학교급식 기호도 연구는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개별품목에 대하여 학교 단위별로 선호도를 조사하는 수준이었고, 잔반량을 측정하여 기호 성향을 분석하거나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방안을 타진하는 방식이었다[13, 14]. 그러나 학교급식 개별단위의 메뉴기호도가 아니라 전체 모집단의 기호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식품 유형별로 구분하여 기호도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학교급식의 식사 건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영양교사가 식단작성에 준수하는 식사계획 지침[9]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견을 분석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상과 같이, 유치원•학교급식은 국내 우수 농산물 이용,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사 제공, HACCP에 기반하여 안전한 식사를 제공할 뿐 아니라 건전한 식생활 문화와 미래를 이끌어 갈 학생들의 건강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5]. 그러나 최근에 유치원급식이 학교급식법에 적용을 받는 시점 이후에 유치원•학교급식 학부모와 학생을 대상으로 인식도, 건강성, 기호도를 전국 단위로 조사한 연구가 진행된 바 없으며, 더욱이 신문기사와 뉴스에서 전달하는 학교급식 정보는 학부모와 학생들이 갖는 학교급식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유통되는 주요 정보를 분석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식 관련 신문기사의 키워드를 분석하고, 유치원•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은 학부모를 대상으로,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고등학교는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급식 관련 인식도, 건강성, 기호도를 조사하고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학교급식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을 확인하고 학교급식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산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Ethics statement
The informed written consent was obtained from each participant or their quardians. The study protocol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the Dankook University Review Committee (approval number: 2022-10-063-001).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전국 단위의 횡단적 설문조사 연구로서, 유치원 및 학교급식 소비자의 인식, 건강성, 기호도를 조사하고 신문기사 키워드 분석을 병행한 혼합연구이다. 연구는 STROBE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보고지침(https://www.strobe-statement.org/)을 준수하여 기술하였다.
2. 빅카인즈 활용한 유치원•학교급식 키워드 분석
언론에 비친 학교급식에 관한 정보는 학교급식 소비자인 학부모와 학생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므로 신문기사에서 학교급식의 주요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분석시스템인 빅카인즈(Big Kinds, www.bigkinds.or.kr)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여 2019년 11월 24일부터 2022년 11월 23일까지 최근 3년간의 신문기사를 분석하였다. 전국 대상 뉴스 기사에 ‘학교급식’을 검색한 결과, 총 236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으며, 이 중에서 현 시점의 학교급식 운영 및 인식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코로나19’과 관련된 기사들을 제외하고 총 106건의 기사를 검색하였다. 이 중에서 지자체・기업 홍보 자료 및 비연관 기사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76건을 분석(분석률 32.2%)하였다.
3. 유치원・학교급식 인식도 설문조사

1) 조사 대상 및 기간

설문조사는 2022년 12월 1일부터 12월 28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와 오프라인 조사가 동시에 진행되었다. 전국 17개 교육청의 협조를 받아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일부 설문조사는 연구참여자의 소개를 통해 샘플을 늘려가는 눈덩이표집(snowball sampling) 방식을 활용하여 유치원 유아의 학부모, 초등학교 4–6학년,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전국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단국대학교 IRB 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538부 중 응답이 불성실하여 유효하지 않은 설문지 6부를 제외하고 총 532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2) 조사내용

설문지는 일반사항, 학교급식 인식도 15항목, 학교급식 건강성 7항목, 학교급식의 기호도 12항목, 학교급식 관련 알고 싶은 주제 16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사항은 나이,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 월평균가구 수입, 거주지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항목에 ‘응답을 원치 않는 경우 응답하지 않아도 됨’ 문구를 넣어 응답자가 편안하게 응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1) 유치원・학교급식 인식도

인식도는 학생, 학부모, 교직원 등이 학교급식의 목적, 운영방식, 영양적 가치, 위생 및 안전성, 교육적 기능 등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수준과 태도를 의미한다. 유치원・학교급식 인식도는 15개 항목(영양적 우수, 안전한 식재료 사용,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도움, 철저한 위생관리, 친환경농산물 사용, 전통 식문화를 학습, 사회•경제•환경에 도움, 학생/학부모의 의견이 반영, 식판/숟가락/젓가락 등 식기의 청결, 급식실의 식탁/의자 등 청결, 메뉴의 다양성, 음식물쓰레기 저감화를 위한 프로그램 진행, 맛있는 음식, 식사하는 장소[식당 또는 학급]의 청결, 무항생제 축산물 사용)으로 구성하였다[1, 4, 10, 15-19]. 인식도는 5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보통이다, 4: 그렇다, 5: 매우 그렇다)로 평가하게 하였고, 모를 경우 ‘모름’에 응답하게 하였다.

(2) 유치원・학교급식 건강성

학교급식의 건강성이란 학교에서 제공되는 식사가 학생의 영양 요구를 충족하고, 성장과 발달 지원, 그리고 식습관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1, 7, 10]. 건강성은 7항목(고트랜스지방식품/고열량•저영양식품 거의 제공하지 않음, 패스트푸드/가공식품을 거의 사용하지 않음, 곡류/육류/채소류/과일류 등 다양한 식재료 사용, 다양한 조리법 사용, 지나치게 짜거나 달지 않게 제공, 자연식품과 계절식품을 사용, 기름에 튀긴 음식을 주2회 이하로 제공)으로 구성하였으며, 인식도 평가체계와 동일한 5점 척도로 평가하게 하였다.

(3) 유치원・학교급식의 기호도

학교급식 기호도란 급식에 대해 느끼는 맛, 외형, 냄새, 온도, 질감, 익숙함 등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선호도를 의미한다. 기호도는 12개 항목(육류찬, 과일류, 음료수류, 치킨류, 된장국, 생선류, 채소류, 면류, 빵류, 잡곡류, 튀김류, 김치류)으로 구성하였으며[20, 21], 평가방법은 5점 척도(1: 전혀 선호하지 않음, 2: 선호하지 않음, 3: 보통, 4: 선호, 5: 매우 선호)를 이용하였다.
설문 문항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값을 산출하였다. 인식도 15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 0.891, 건강성 7문항은 0.869, 기호도 12문항은 0.756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양호하거나 수용 가능한 수준의 내적 일관성을 확보하였다.
4. 통계 분석
회수된 설문지 중 유효한 설문지 총 532부를 이용하여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7.0 (IBM Co.)을 활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변수별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유치원•초등학교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중•고등학교로 구분하여 통계적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한 후 유의성이 나타났을 때 Scheffé 사후검정을 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은 P < 0.05로 검증하였다.
1. 빅카인즈 이용한 학교급식 뉴스 키워드
학교급식 뉴스기사 컨텐츠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 인식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사 내용은 거의 없었으며, 학교급식에 대하여 긍정적 혹은 부정적 인식에 대한 기사도 찾기 어려웠다. 관련 기사를 주제별로 묶어본 결과, 위생안전, 지역농산물, 친환경 식재료, 교육 및 연수, 조리종사자의 업무 과중, 채식식단 제공, 학교급식법, IT, 영양교육, 식단개발, 급식 홍보, 급식 예산 관리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워드클라우드 분석 결과는 Fig. 1과 같다. 워드클라우드는 기사에서 제공하는 키워드의 빈도수를 반영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빈도수가 높을수록 키워드 크기가 크게 표시된다. 주요 핵심 키워드는 친환경농산물, 전남도, 식재료, 코로나19, 경기교육청, 안전성, 수산물, 등이 이슈로 나타났다.
2. 연구 참여자 일반사항
설문조사 참여자는 유치원, 초등학교 3학년생 이하를 둔 학부모 101명,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의 학생 152명, 중•고등학생 279명이며, 그 결과는 Table 1과 같다. 학부모의 평균 연령은 40세, 학생들의 평균 나이는 12세였다. 부모의 최종 학력을 조사한 결과, 아버지는 96.2%가 대학교 졸업 이상, 어머니는 92.0%가 대학교 졸업 이상으로 대부분의 학부모들이 고학력자에 해당하였다. 가구별 월 평균 수입은 25.0%가 900–1,500만 원 미만이었으며, 24.1%가 450–600만 원 미만이었다. 750–900만 원 미만이 19.4%, 600–750만 원 미만이 14.8%였으며, 대부분 응답자가 450만 원에서 1,500만 원 미만에 해당되었다. 설문조사 응답자의 거주 지역은 서울과 경기도가 각 18.4%로 전체의 36.8%를 차지하였고, 강원도 17.7%, 전라남도 16.0% 순으로 확인되었다.
3. 유치원•학교급식 인식도
학교급식에 대한 학부모와 학생 사이에 인식도가 학부모와 학생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Table 2). 인식도가 4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난 항목은 안전한 식재료 사용(4.44), 메뉴의 다양성(4.29), 식사 장소 깨끗(4.31), 식판/숟가락/젓가락 등의 식기 청결(4.34), 식습관에 도움(4.18), 위생관리 철저(4.29), 영양적으로 우수(4.24), 친환경농산물 사용(4.53), 급식의 맛(4.13), 무항생제 축산물 사용(4.77), 식탁/의자 청결(4.21)로 나타났다. 반면에 전통식문화 학습(3.91) 문항은 인식도가 낮게 나타났다. ‘사회경제환경 측면에 도움’, ‘음식물쓰레기 저감화 프로그램 전개’는 초등학교 고학년이 중•고등학생보다 높게 평가하였고, ‘학생 학부모 의견 반영’은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고등학생이 유치원•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무항생제 축산물 사용’의 인식도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유치원•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보다 높았다. 유치원•학교급식에는 무항생제 축산물이 사용된다는 항목에 대해서는 학부모 28.7%, 학생 37.8%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부모와 학생 간의 인식의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유치원•학교급식의 영양, 안전한 식재료, 위생관리, 친환경농산물 사용, 전통 식문화 학습, 메뉴의 다양성, 식기의 청결 정도, 음식물 쓰레기 저감화 프로그램, 맛 등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학부모들은 유치원•학교급식이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으나 학교급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 유치원•학교급식 건강성
급식 식사에 대한 건강인식도는 Table 3과 같다. 학교급식의 건강성 인자 중에서 다양한 식재료 사용(4.33), 다양한 조리법(4.11), 자연식품과 계절식품 사용(4.04)은 높게 평가된 반면, 고트랜스지방식품, 고열량•저영양식품을 미제공(3.58), 패스트푸드, 가공식품을 미사용(3.61), 기름에 튀긴 음식을 주 2회 이하로 제공(3.69)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유치원•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는 초등학교 고학년•중학생•고등학생보다 ‘고트랜스지방식품, 고열량•저영양식품 미제공’ (F = 6.318, P < 0.01), ‘패스트푸드, 가공식품을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에 낮은 점수를 주었다(F = 4.584, P < 0.05). 유•초등저학년 학부모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은 중•고등학교 학생에 비해 ‘곡류, 육류, 채소류, 과일류 등 다양한 식재료 사용’ (F = 11.073, P < 0.001), ‘자연식품과 계절식품을 많이 사용’ (F = 7.261, P < 0.001)한다고 평가하였다. 유•초등저학년 학부모는 초등학교 고학년 및 중•고등 학생 보다 ‘기름에 튀긴 음식을 주2회 이하로 제공’ (F = 5.493, P < 0.01)을 높게 평가하였다.
5. 유치원•학교급식 기호도
학교급식 기호도는 Table 4에 제시하였다. 학부모, 학생이 평가한 식품유형별 기호도는 과일(4.41)과 육류찬(4.35)에서 높은 기호도를, 잡곡류(3.70), 김치류(3.78)는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한편, 음료(학부모 2.99, P < 0.001), 치킨류(학부모 3.71, P < 0.001), 면류(학부모 3.88, P < 0.001), 빵류(학부모 3.51, P < 0.001), 튀김류(학부모 3.36, P < 0.001)에 대한 초등학교 고학년이나 중•고등학교 학생의 기호도는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가 인지하는 자녀의 기호도 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반대로 생선류(학부모 3.87, P < 0.001), 된장국(학부모 3.98, P < 0.05), 채소류(학부모 4.12, P < 0.001)는 학부모가 평가한 기호도 점수가 초등학교 고학년, 중•고등학생이 평가한 점수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학교급식은 학생에게 성장발달 수준에 맞는 한 끼의 균형 잡힌 식사제공과 더불어 신체적, 정신적인 성장발달과 전통 식문화의 계승 발전, 및 국민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전략적으로 실시되는 급식이다[1]. 종래에 학교급식 인식도에 관한 조사가 진행된 바 있으나, 최근에 유치원급식이 학교급식에 포함되는 상황에서 유치원 학부모의 유치원급식에 관한 인식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고, 초•중•고등학생들의 식행동의 변화[22] 불구하고 최근에 학교급식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도, 건강성, 기호도에 관한 조사가 없는 상황이어서 전국 학교급식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학교급식은 학부모의 식사준비 부담을 줄여주고, 학생에게 영양적으로 균형잡힌 식사제공으로 특히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식품안정성을 확보하고, 학생의 신체적, 정신적 성장 발달에 기여한다[23-27]. 본 연구에서 학교급식의 건강성은 학교급식법 시행규칙 제5조 영양관리기준에 근거하여 학생들의 건강 증진을 위하여 식단계획에 포함되는 사항으로 정의하였다. 건강성의 지표는 다양한 조리법 사용, 지나치게 짜거나 달지 않게 제공, 계절식품 활용, 기름에 튀긴 음식은 주 2회 이하로 제한, 패스트푸드와 가공식품을 거의 사용하지 않음, 고트랜스지방식품 고열량 저영양식품을 제공하지 않음 등에 관한 기준이다[9]. 본 연구에서 유치원•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는 중•고등학생보다 학교급식의 건강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특히 학부모는 곡류, 육류, 채소류, 과일류 등 다양한 식재료 사용(4.55), 자연식품과 계절식품을 많이 사용(4.29), 기름에 튀긴 음식을 주 2회 이하 제공(3.96), 고트랜스지방식품•고열량•저영양식품(3.86), 패스트푸드•가공식품을 거의 사용하지 않음(3.81)과 같은 건강 유익성에 대해 중•고등학년 학생들보다 더 높게 평가하였다(P < 0.05). 그러나, 다양한 조리법 사용, 지나치게 짜거나 달지 않게 제공은 세 집단 모두 평균값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교급식의 건강성은 학교급식에서 섭취한 식사가 집, 편의점에서 섭취한 식사보다 영양적이었다는 선행 연구[28]에서 제시된 바 있다. 학교급식 식사가 집, 편의점에서 섭취한 식사보다 비타민 C, 칼슘, 철분, 엽산, 비타민 A, 비타민 B1, 나이신의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가 높았다. 비타민 A의 INQ는 학교(1.2), 편의점(1.2), 집(1.0) 순이었고, 비타민 B1 학교(2.0), 집(1.7), 편의점(1.6)이었다. 비타민 C, 칼슘, 철분, 엽산의 경우에는 학교에서 제공받은 식사는 1 이상의 INQ지수를 보인 반면에 다른 장소에서 식사한 경우 1을 넘지 못했다.
그러나 일부 학생들의 편식, 기호식품 추구로 인해 잔반량 증가와 1끼 식사의 영양섭취기준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17]. 최근 우리 사회의 인구구조 및 라이프스타일 등 복합적인 여러 요소들로 인해 식생활이 변화되고 있는데 특히, 아침 식사 결식률이 증가[29],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 HMR)과 같은 편의식품의 섭취가 증가되고 있으며[30] 이에 따른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 미국에서 수행된 연구[25]에서는 학부모의 90% 이상이 학교에서 학생에게 건강한 식사와 적절한 신체활동을 제공한다고 응답하였다. 과일/채소를 5회 이상 섭취하는 학생은 학교식사에 대한 건강성을 높게 인식하였고, 무료/할인 혜택을 받는 학부모는 100% 급식비를 내는 학부모들보다 학교식사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25]. 버지니아주 저소득층 학생을 대상으로 학기 중에는 아침, 점심, 저녁 3끼의 무료 학교급식을 제공하고 주말과 방학에는 식품보따리를 제공한 결과 식품안정성(food security)이 확보되었다[26]. 시험군의 식품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은 비율은 25.9%로 목표한 수치보다 다소 낮았지만, 학교급식프로그램이 저소득층 가구 학생들의 식품안정성 확보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인천 지역 초등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무상학교급식 인식도를 조사한 연구에서 학생 97.2%가 무상급식이 필요하며, 학교급식이 영양적(36.7%)이며 좋은 맛(18.3%)과 좋은 질의 식재료(13.4%)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부모들은 학교급식을 통해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에게 차별방지와 복지서비스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23]. 이상의 결과는 학교급식이 학생들의 신체적, 정신적 성장 발달에 크게 기여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학교급식 건강성에 관한 평가 결과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다양한 식품군을 균형있게 공급’, ‘다양한 조리법을 활용’하여 식사를 제공한다는 것을 교육영상을 통해 적극 홍보하고, 트랜스지방산, 고열량저영양식, 패스트푸드가공식품 사용을 자제한다는 내용을 학교 e-알리미를 통해 학생과 학부모에게 적극 소통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학교급식 인식도 조사에서 안전한 식재료 사용(4.33), 메뉴 다양성(4.26), 식사 장소 깨끗(4.26), 식판/숟가락/젓가락 등의 식기 청결(4.24), 식습관에 도움(4.12), 위생관리 철저(4.2)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고, 반면 전통 식문화 교육(3.7), 학부모 및 학생 의견 반영(3.9),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진행(3.9) 항목이 낮게 평가되었다. 인천 지역 초등학생과 학부모는 학교급식 만족도를 5점 중 4.57점으로 높게 평가하였고, 저학년일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그러나 위생 만족도는 낮아서 식판, 수저, 컵과 배식대, 식탁, 의자의 위생 개선이 지적되었다[19]. 또한 학부모의 급식 활동 참여 기회의 확대, 가정통신문을 활용한 홍보자료 배포, 학교 홈페이지에 메뉴 사진 게시를 통해서 급식에 대한 이해도를 개선해야 함이 지적되었다[23]. 천안 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급식에서 가장 중요한 속성은 ‘위생’ (50.1%)이며, 그 다음 순으로 ‘영양’ (21.3%), ‘신선한 식재료’ (18.2%), ‘맛’ (9.4%), ‘급식의 양’ (1.0%)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31].
학교급식 중학생의 식습관 및 학교급식 인식도 조사에서 40.5% 학생들이 학교급식서비스에 만족하였으나, 54.2%가 영양교육을 받은 적이 없으며, 45.1%가 영양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32]. 미국에서 진행된 영양교육 프로그램 운영실태에서는 학교 가드닝[33]이 영양교육 주제로 포함되어야 함을 지적하고, 가든 기반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위해서 행정부와 관할지역에서 재원 마련, 교사 가든 훈련, 가드닝 교육과정 제공, 가드닝 리더십 위원회 구성, 지역위원회 조직과 파트너십 구축과 같은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학교급식의 기호도 측면은 학부모(유치원•초등학교 저학년)와 학생(초등학교 고학년 이상)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학생들은 생선류, 채소류, 잡곡류, 된장국 순으로 낮은 기호도를 보였고, 과일류, 육류, 면류, 치킨류, 음료수 순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식행동을 10년간 추세분석한 연구[22] 결과와 유사하였다. 청소년의 아침식사, 과일, 우유 섭취율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이고, 청소년의 탄산음료와 단맛음료 섭취도 증가세가 둔화 양상을 보이긴 하지만 제외국과 비교시 여전히 에너지 음료 섭취 빈도가 높아 주의가 필요하였다. 아침 결식으로 ‘삼시 세끼’라는 식사의 틀이 무너지고 있고, 입맛과 편의에 따라 즐기는 섭취 행태가 우세하였고, 단맛 주 3회 이상 섭취율이 63.6%에 이르고, 청소년의 기호와 구매력이 단맛의 섭취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학교급식에서 제공하는 식사를 100% 섭취하고 잔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학생, 학부모를 대상의 식사 기호도를 조사하고 편식 식품의 섭취를 개선하기 위한 조리법 전략 개발과,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열린 소통을 통한 기호도 증진 및 잔반량 감량화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기호도가 낮은 식품인 생선류, 채소류, 잡곡류를 학생들이 골고루 섭취할 수 있도록 영양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조리법 개선이 요구되었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급식 잔반율을 조사한 연구에서 잔반율은 남학생 30.9%, 여학생 38.8%를 보였고, 제공식사의 67% 정도만 섭취[13]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기호도 개선이 학교급식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에 주요한 동기요인임[34]을 보여준다. 뉴욕시에서 실시한 여름방학 학교급식 프로그램 연구에서 뉴욕 소재 학교는 다양한 국적을 가진 학생들로 구성되므로 다민족 식문화를 반영하여 식사계획을 해야 함을 강조하였다[35]. 따라서 학교급식관리자는 한국 학생들의 변화하는 기호도를 반영하는 것은 물론이고 늘어나는 다문화 가정(예: 베트남, 필리핀, 대만, 중국 등) 학생들의 식문화를 반영한 식사계획을 수립하고, 새로운 메뉴에 대한 학생들의 기호도를 모니터링하여 식단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학생들이 생선류, 된장국, 채소류 음식을 싫어하는 이유를 조사하고, 레시피와 조리법을 수정하여 학생들의 입맛에 맞는 레시피 개발도 필요하다. 한편, 학교급식 잔반량이 늘어나면 그 만큼 영양소 공급량이 줄어들고 일부 영양소의 부족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학교급식을 온전히 섭취하는 것이 성장 발달에 도움됨을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적극 알려야 한다. 영양관리에 문제가 되는 학생들의 식행동(예: 편식)이나 기호도(예: 생선류, 국류, 채소류 미섭취)을 영양교육 주제로 설정하여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급식게시판과 학교 e-알리미를 활용하여 식습관 교정 행동 지침을 소개하는 활동을 적극 전개하여야 한다.
학교급식에서 학교장은 급식관리와 운영을 위하여 급식계획, 영양과 위생 및 식재료, 작업관리, 예산관리, 식생활 지도 등에 필요한 계획을 수립하고,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해 관련 계획을 보고 및 논의하며, 학부모가 학교급식에 참여하는 수요자 중심의 열린 운영을 전개하고 있다[19].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유치원•학교급식에 소비자 인식에 개선이 필요한 요소로 (1) 고트랜스지방식품, 고열량•저영양식품, 패스트푸드 가공식품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기름에 튀긴 음식은 주 2회 이하로 제공한다는 건강성 측면을 학부모와 학생이 낮게 인식하였고, (2) 식품의 편향적인 기호성(치킨류, 면류, 튀김식품, 음료, 빵류의 높은 기호도, 채소류, 잡곡류, 생선류, 된장국의 낮은 기호도)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학교급식관계자들은 앞에서 제시한 활동을 포함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학부모와 학생들과 학교급식 인식도, 건강성, 기호도에 대해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Limitations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는 단면조사연구로 특정 시점에 일회성의 조사연구로 진행되었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연구결과 해석시 단면조사 연구의 제한점을 인지하고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협조를 얻어 전국적으로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도록 연구를 설계하였다. 그러나 연구참여자의 자발적 참여 의사에 따라 연구가 진행되어서 인천, 대전, 광주 지역에서는 연구참여자를 전혀 확보하지 못했다. 즉 일부 지역에서 연구 참여자가 없었다는 점이 연구의 제한점으로 지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유치원급식이 학교급식법 적용을 받는 현 시점에 학부모와 학생을 대상으로 전국 모집단을 대상으로 학교급식의 인식도, 건강성, 기호도를 살펴본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소비자 욕구 분석 결과에서 낮은 점수를 보인 인식도, 학교급식의 건강성, 기호 식품을 기초로 급식서비스 개선활동을 전개하고, 영양교육의 주요 주제로 설정하여 학생과 학부모에게 올바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소통한다면 학교급식을 바로 이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Conclusion
본 연구는 유치원•학교급식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건강성, 기호도를 전국 단위로 조사하고 언론 보도를 분석한 최초의 시도로, 학교급식이 학생의 성장과 건강 증진뿐 아니라 지속가능한 식생활 문화 형성에도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치원•학교급식에 관한 학부모와 학생들의 인식도는 매우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학교급식이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의 식생활과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논증되었다. 일부 건강성 지표와 기호도에서 학교급식의 목적성을 학생과 학부모가 인지하는 못하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영양교육 확대를 통해 인식과 태도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교급식은 안전성과 영양 균형을 기반으로 학생들의 편식을 완화하고 전통 식문화를 계승할 수 있는 교육적 기능을 강화해야 하며, 학부모와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e-알리미, 급식게시판, 영양교육 등을 통한 적극적 소통 전략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급식의 정책 개발, 급식개선활동, 영양교육설계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ONFLICT OF INTEREST

There are no financial or other issues that might lead to conflict of interest.

FUNDING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Korea Educational Environments Protection Agency (Grant No. R202201176).

DATA AVAILABILITY

Research data is available upon request to the corresponding author.

Fig. 1.
Keywords related to kindergarten and school foodservices in mass-media analyzed with the Big Kinds. Keywords originally extracted in Korean; translated English equivalents are provided below: 친환경농산물,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고등학교, high school; 식재료, food ingredients; 경기도교육청,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전남도, Jeonnam-do; 경기도, Gyeonggi-do; 경기도교육청,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학부모, parents; 수산물, marine products; 코로나19, COVID-19; 영양사, nutritionist; 공공급식지원센터, Public Foodservice Support Center; 안전성, safety.
kjcn-2025-00199f1.jpg
Table 1.
Participant characteristics
Category School level
Total (n = 532) F or t
Parents of kindergarten/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 = 101)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n = 15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 = 279)
Age (year) 40.29 ± 5.56c, 1) 10.66 ± 2.44a 14.96 ± 2.37b 17.83 ± 10.58 2672.688***
Father’s highest educational level2) (n = 156) 8.299
 High school graduate or less 1 (1.6) 1 (2.8) 4 (7.1) 6 (3.8)
 College graduate 42 (65.6) 23 (63.9) 44 (78.6) 109 (69.9)
 Post graduate education 21 (32.8) 12 (33.3) 8 (14.3) 41 (26.3)
Mother’s highest educational level2) (n = 150) 13.134
 Elementary or less 0 (0.0) 2 (5.4) 0 (0.0) 2 (1.3)
 High school graduate or less 2 (3.2) 2 (5.4) 6 (11.8) 10 (6.7)
 College graduate 42 (67.7) 28 (75.7) 37 (72.5) 107 (71.3)
 Post graduate education 18 (29.0) 5 (13.5) 8 (15.7) 31 (20.7)
Average monthly household total income2) (n = 108, unit: 10,000 won) 15.185
 150–300 less 2 (3.5) 1 (4.5) 0 (0.0) 3 (2.7)
 300–450 less 6 (10.5) 2 (9.1) 1 (3.2) 9 (8.2)
 450–600 less 14 (24.6) 4 (18.2) 8 (25.8) 26 (23.6)
 600–750 less 8 (14.0) 4 (18.2) 4 (12.9) 16 (14.5)
 750–900 less 11 (19.3) 2 (9.1) 8 (25.8) 21 (19.1)
 900–1,500 less 15 (26.3) 4 (18.2) 8 (25.8) 27 (24.5)
 More than 1,500 1 (1.8) 5 (22.7) 2 (6.5) 8 (7.3)
Residential area3) (n = 528) 208.656***
 Seoul 34 (34.0) 22 (14.8) 41 (14.7) 97 (18.4)
 Busan 1 (1.0) 0 (0.0) 0 (0.0) 1 (0.2)
 Incheon 0 (0.0) 0 (0.0) 0 (0.0) 0 (0.0)
 Daegu 2 (2.0) 0 (0.0) 0 (0.0) 2 (0.4)
 Daejeon 0 (0.0) 0 (0.0) 0 (0.0) 0 (0.0)
 Gwangju 0 (0.0) 1 (0.7) 1 (0.4) 2 (0.4)
 Ulsan 0 (0.0) 1 (0.7) 1 (0.4) 2 (0.4)
 Sejong 3 (3.0) 1 (0.7) 24 (8.6) 28 (5.3)
 Gyeonggi-do 26 (26.0) 44 (29.5) 27 (9.7) 97 (18.4)
 Chungcheongbuk-do 0 (0.0) 12 (8.1) 33 (11.8) 45 (8.5)
 Chungcheongnam-do 7 (7.0) 7 (4.7) 14 (5.0) 28 (5.3)
 Jeollabuk-do 2 (2.0) 2 (1.3) 3 (1.1) 7 (1.3)
 Jeoollanam-do 1 (1.0) 51 (34.2) 33 (11.8) 85 (16.1)
 Gyeongsangbuk-do 1 (1.0) 2 (1.3) 2 (0.7) 5 (0.9)
 Gyeongsangnam-do 3 (3.0) 0 (0.0) 17 (6.1) 20 (3.8)
 Gangwon-do 9 (9.0) 5 (3.4) 80 (28.7) 94 (17.8)
 Jeju island 11 (11.0) 1 (0.7) 3 (1.1) 15 (2.8)

n(%) or Mean ± SD.

1)Post hoc tests were conducted using Scheffé’s method. Different subscript letters (a–c)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P < 0.05.

2)Optional, not required.

3)Percentage was calculated as the ratio excluding the number of non-respondents.

***P < 0.001.

Table 2.
Parent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school foodservice by school level
Category Perception score by school level
Total (n = 532) F
Parents of kindergarten/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 = 101) (n = 152) (n = 279)
School meals are nutritionally excellent 4.24 ± 0.741) 4.21 ± 1.01 4.26 ± 0.80 4.24 ± 0.85 0.148
School meals use safe ingredients 4.42 ± 0.68 4.57 ± 0.93 4.38 ± 0.76 4.44 ± 0.80 2.872
School meals help students develop proper eating habits 4.29 ± 0.79 4.15 ± 1.06 4.16 ± 0.94 4.18 ± 0.95 0.78
School meals are strictly hygienic 4.42 ± 0.71 4.24 ± 1.08 4.27 ± 0.87 4.29 ± 0.91 1.272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re used in school meals 4.39 ± 1.01 4.62 ± 1.07 4.53 ± 0.97 4.53 ± 1.01 1.539
School meals help students learn about traditional food culture 3.71 ± 1.10 4.01 ± 1.35 3.94 ± 1.22 3.91 ± 1.24 1.813
School meals are helpful for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4.32 ± 0.87ab, 2) 4.52 ± 1.28b 4.14 ± 1.10a 4.28 ± 1.13 5.685**
Student/parent opinions are reflected in school meals 3.63 ± 1.20a 4.41 ± 1.35b 4.19 ± 1.11b 4.15 ± 1.23 13.116***
School lunch utensils, including plates, spoons, and chopsticks, are clean 4.40 ± 0.76 4.48 ± 1.06 4.24 ± 0.87 4.34 ± 0.91 3.564
The dining room tables, chairs, etc. are clean 4.30 ± 0.81 4.26 ± 1.29 4.15 ± 0.91 4.21 ± 1.02 1.011
The school lunch menu is diverse 4.40 ± 0.74 4.35 ± 1.00 4.22 ± 0.95 4.29 ± 0.93 1.851
A program is underway to reduce food waste 4.23 ± 1.24ab 4.57 ± 1.16b 4.06 ± 1.23a 4.23 ± 1.23 8.570***
School lunches are delicious 4.13 ± 0.91 4.11 ± 1.18 4.14 ± 1.01 4.13 ± 1.04 0.043
The dining area (restaurant or class) is clean 4.35 ± 0.70 4.34 ± 1.12 4.27 ± 0.81 4.31 ± 0.89 0.391
Antibiotic-free livestock products are used in school meals 4.48 ± 1.24a 4.97 ± 1.11b 4.77 ± 1.13a, b 4.77 ± 1.16 5.524**

Mean ± SD.

1)5-point scale: 1 = strongly disagree; 2 = disagree; 3 = neutral; 4 = agree; 5 = strongly agree.

2)Post hoc tests were conducted using Scheffé’s method. Different subscript letters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P < 0.05.

**P < 0.01,

***P < 0.001.

Table 3.
Parents’ and students’ opinions on the healthiness of kindergarten and school foodservice by school level
Category School level
Total (n = 532) F
Parents of kindergarten/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 = 101)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n = 15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 = 279)
Kindergarten and school lunches rarely provide high-trans fatty acid foods or high-calorie, low-nutrition foods 3.86 ± 0.94b, 1), 2) 3.41 ± 1.00a 3.56 ± 0.98a 3.58 ± 0.992) 6.318**
Kindergarten and school meals rarely contain fast food or processed foods 3.81 ± 0.96b 3.43 ± 1.05a 3.63 ± 0.96a 3.61 ± 0.99 4.584*
Kindergarten and school meals use a variety of ingredients, including grains, meat, vegetables, and fruits 4.55 ± 0.59b 4.44 ± 0.83b 4.18 ± 0.78a 4.33 ± 0.78 11.073***
Kindergarten and school lunches use a variety of cooking methods 4.26 ± 0.73 4.12 ± 1.02 4.05 ± 0.89 4.11 ± 0.90 2.051
Kindergarten and school lunches use a variety of cooking methods 4.14 ± 0.93 3.95 ± 1.14 3.95 ± 0.88 3.99 ± 0.97 1.490
Kindergarten and school lunches use a lot of natural and seasonal foods 4.29 ± 0.78b 4.11 ± 0.87ab 3.92 ± 0.91a 4.04 ± 0.89 7.261***
Kindergarten and school lunches provide fried food no more than twice a week 3.97 ± 0.96b 3.72 ± 1.09ab 3.58 ± 0.97a 3.69 ± 1.01 5.493**

Mean ± SD.

1)5-point scale: 1 = strongly disagree; 2 = disagree; 3 = neutral; 4 = agree; 5 = strongly agree.

2)Post hoc tests were conducted using Scheffé’s method. Different subscript letters (a, b)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P < 0.05.

*P < 0.05,

**P < 0.01,

***P < 0.001.

Table 4.
School meal preference results by school level
Category Preference score by school level
Total (n = 532) F
Parents of kindergarten/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 = 101) (n = 152) (n = 279)
Meat side dishes (beef, chicken, pork, etc.) 4.34 ± 0.701) 4.28 ± 0.93 4.39 ± 0.72 4.35 ± 0.78 0.874
Fruits 4.50 ± 0.69 4.38 ± 0.85 4.39 ± 0.79 4.41 ± 0.79 0.805
Beverages 2.99 ± 1.03a, 2) 4.30 ± 0.99b 4.46 ± 0.86b 4.12 ± 1.08 94.709***
Chicken 3.71 ± 0.90a 4.26 ± 1.06b 4.27 ± 0.87b 4.16 ± 0.96 14.394***
Doenjang-gug 3.98 ± 0.88b 3.66 ± 1.22a 3.69 ± 1.01a, b 3.74 ± 1.05 3.385*
Fish 3.87 ± 1.07b 3.34 ± 1.25a 3.18 ± 1.22a 3.36 ± 1.22 12.247***
Vegetables 4.12 ± 0.92b 3.45 ± 1.23a 3.55 ± 1.06a 3.63 ± 1.12 13.018***
Noodles (e.g. udon, spaghetti, rice noodles) 3.88 ± 0.82a 4.36 ± 0.96b 4.33 ± 0.88b 4.26 ± 0.91 10.947***
Bread (e.g. pies, tarts, etc.) 3.51 ± 0.87a 3.96 ± 1.13b 4.20 ± 0.93b 4.00 ± 1.02 18.511*** `1
Multigrain rice 3.85 ± 0.90 3.68 ± 1.12 3.66 ± 0.97 3.70 ± 1.00 1.397
Fried food 3.36 ± 0.87a 3.82 ± 1.14b 3.98 ± 1.03b 3.82 ± 1.06 12.975***
Kimchi 3.74 ± 0.91 3.78 ± 1.19 3.80 ± 1.04 3.78 ± 1.06 0.118

Mean ± SD.

1)5 point scale: 1 = never preferred; 2 = not preferred; 3 = neutral; 4 = preferred; 5 = strongly preferred.

2)Post hoc tests were conducted using Scheffé’s method. Different subscript letters (a, b)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P < 0.05.

*P < 0.05,

***P < 0.001.

  • 1.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School meals act [Internet]. Ministry of Government; 2021 [updated 2021 Dec 28; cited 2021 Dec 29].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EB%B2%95%EB%A0%B9/%ED%95%99%EA%B5%90%EA%B8%89%EC%8B%9D%EB%B2%95
  • 2.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MOE). Promoting high-quality school and kindergarten meals using safe and healthy ingredients [Internet]. SOME; 2022 [updated 2022 Feb 27; cited 2022 Mar 22]. Available from: https://enews.sen.go.kr/news/view.do?bbsSn=175401&step1=3&step2=1#none
  • 3. Center for Children’s and Social Welfare Foodservice Management. 2022 Guidelines for the children’s meal management support center [Internet]. Center for Children’s and Social Welfare Foodservice Management; 2024 [updated 2024 Jul 18; cited 2025 Jul 11]. Available from: https://dietary4u.mfds.go.kr/board.es?mid=a61303000000&bid=0256&act=view&list_no=75288&tag=&nPage=1
  • 4. Korea Educational Environments Protection Agency. Kindergarten meal implementation status for the 2022 school year [Internet]. Ministry of Education; 2023 [updated 2023 Sep 11; cited 2023 Nov 27]. Available from: http://www.sfic.go.kr/board/view.do?boardId=BBS_0000007&menuCd=DOM_000000103003000000&startPage=1&-searchType=DATA_TITLE&keyword=%EC%9C%A0%EC%B9%98%EC%9B%90&dataSid=57610
  • 5. Chang HJ. Current status and solutions of public meals through case studies [Internet]. The Korean Society of Food Service Sanitation; 2022 [cited 2025 Jul 11]. Available from: https://fssanitation.com/bbs/info/150
  • 6. Korea Educational Environments Protection Agency. School meal hygiene management guidelines [Internet]. Ministry of Education; 2021 [cited 2025 Jul 11]. Available from: https://www.schoolkeepa.or.kr/cop/bbs/selectArticleDetail.do?nttId=431&bbsId=BBSMSTR_000000000021
  • 7.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ion. The national health plan 2020: Food safety detailed information on indicators [Internet].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ion; n.d. [cited 2023 Jul 20]. Available from: https://www.khepi.or.kr/hpn/hpnIdx/selectIdxDetailList.do?menuId=MENU01381
  • 8. Statistics Korea. e-Nation Indicators: 22 number of food poisoning cases and patients [Internet]. Statistics Korea; 2022 [cited 2023 Jul 11]. Available from: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61
  • 9.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School meal act enforcement regulations [Internet]. Ministry of Government; 2021 [updated 2021 June 30; cited 2024 Aug 5].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EB%B2%95%EB%A0%B9/%ED%95%99%EA%B5%90%EA%B8%89%EC%8B%9D%EB%B2%95%20%EC%8B%9C%ED%96%89%EA%B7%9C%EC%B9%99
  • 10. Seoul Health and Safety Promotion Center. 2025 Basic directions for school meals [Internet].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25 [cited 2025 Mar 25]. Available from: https://bogun.sen.go.kr/fus/MI000000000000000538/board/BO00000283/ctgynone/view0010v.do
  • 11. Kim J, Woo T, Lee KA, Lee SM, Lee KH. Application and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among middle school girls.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6): 497-508. ArticlePDF
  • 12. Seoul Health and Safety Promotion Center. 2023 Basic directions for school meals [Internet].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23 [cited 2025 Jul 11]. Available from: https://bogun.sen.go.kr/fus/MI000000000000000538/board/BO00000283/ctgynone/view0010v.do
  • 13. Park S, Um M, Kye S.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leftover food during school meal servi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Assn Learn Cent Curric Instr 2022; 22(4): 13-26. Article
  • 14. Bae JS, Lee KE. Nutrient consumption of children from lunch at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J Korean Soc Food Cult 2019; 34(6): 707-718.
  • 15. Lee HR, Park YI, Joo N. The awareness and usage of school meals excluding food hazards by nutrition teachers and dieticians - focusing on the 5 hazard-free meals project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Korean J Food Nutr 2022; 35(1): 51-61.
  • 16. Jung SH, Lee YE, Park EH. Use and perception of environmentally-friendly ingredients by dietitians in Chungb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5; 44(10): 1567-1582. Article
  • 17. Han DI, Jung LH.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J Home Econ Educ Res 2021; 33(3): 41-63. Article
  • 18. Lee EJ. A study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dinner by school meal service in Daegu. Korean J Culinary Res 2012; 18(4): 277-291. Article
  • 19. Park JE, Choi KS. Improving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middle and high school foodservice: the role of student participation program in serving school meals. Korean J Community Nutr 2018; 23(3): 243-256. ArticlePDF
  • 20. Lee KY, Bae YJ, Choi MK, Kim MH. Satisfaction on school meal service and foo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nam. Korean J Food Nutr 2017; 30(1): 129-138. Article
  • 21. Han KS, Hong SH. The menu preference of middle school student in contracted management middle school foodservice. Korean J Dietary Culture 2002; 17(1): 1-15.
  • 22. Shim JS, Lee JM, Kim Y, Choi S, Oh K. Trends in dietary behavior of Korean adolescents: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13-2022. Public Health Wkly Rep 2024; 17(37): 1563-1590.
  • 23. Kim HY, Kim MH, Lee JH. Awareness and satisfaction on the school food service by elementary students and parents in Incheon City. Korean J Food Nutr 2018; 31(3): 355-366.
  • 24. Sim HM, Han Y, Lee KA. Analysis of the types of eating behavior affecting the nutrition of preschool children: using the dietary behavior test (DBT) and the nutrition quotient (NQ). J Nutr Health 2019; 52(6): 604-617. ArticlePDF
  • 25. Budd EL, Franz DJ, Kelly NR, Giuliani NR. Oregon parents’ perceptions of the supportiveness of the school environment for their children’s health behaviors. J Nutr Educ Behav 2020; 52(10): 975-981. ArticlePubMed
  • 26. Burke M, Cabili C, Berman D, Forrestal S, Gleason P.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ree school meals and weekend food backpacks on food security in Virginia. J Acad Nutr Diet 2021; 121(1S): S34-S45. ArticlePubMed
  • 27. Yun YJ, Kwon YJ, Lee Y, Heo SJ, Lee JW. Association of dietary habits with general and abdominal obesit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cluster analysis of nationwide population survey data. Front Endocrinol (Lausanne) 2024; 15: 1424761.ArticlePubMedPMC
  • 28. Kim S, Kim J, Chang H. Do types of snacks, sleep hours, and eating places affect nutritional intakes and its adequacy in adolescents? Nutr Res Pract 2021; 15(3): 396-410. ArticlePubMedPMCPDF
  • 29. Kim YS, Kim E. The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breakfast, sleep, and physical ac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Korea Soc Wellness 2016; 16(4): 201-209. Article
  • 30. Kwon SO, Choi I, Joo Y, Yoon J. Problems encountered in analyzing the market size, purchase, and consumption of HMR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22; 27(6): 480-491. ArticlePDF
  • 31. Yoon HJ, Kim MH, Lee JH. Perception of foodservice hygiene and relationship between hygiene knowledge and hygiene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eon-an.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8; 28(3): 213-224. Article
  • 32. Kim MH, Kim HJ, Choi MK, Kim EY. Study on dietary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perception of school food services in Chungnam Provinc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1; 21(5): 756-770.
  • 33. Hoover A, Vandyousefi S, Martin B, Nikah K, Cooper MH, Muller A, et al. Barriers, strategies, and resources to thriving school gardens. J Nutr Educ Behav 2021; 53(7): 591-601. ArticlePubMed
  • 34. Zhao C, Panizza C, Fox K, Boushey CJ, Byker Shanks C, Ahmed S, et al. Plate waste in school lunch: barriers, motivators, and perspectives of SNAP-eligible early adolescents in the US. J Nutr Educ Behav 2019; 51(8): 967-975. ArticlePubMed
  • 35. Kannam A, Wilson NLW, Chomitz VR, Ladin K.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to free summer meal participation among parents in New York City. J Nutr Educ Behav 2019; 51(8): 976-984. ArticlePubMed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PubReader PubReader
      • ePub LinkePub Link
      • Cite
        CIT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Survey on consumer perceptions, health benefits and preferences of kindergarten and school foodservices in Korea, including related keywords reported in newspaper: a mixed-methods study
        Korean J Community Nutr. 2025;30(4):309-320.   Published online August 29, 2025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We recommend
      Survey on consumer perceptions, health benefits and preferences of kindergarten and school foodservices in Korea, including related keywords reported in newspaper: a mixed-methods study
      Image
      Fig. 1. Keywords related to kindergarten and school foodservices in mass-media analyzed with the Big Kinds. Keywords originally extracted in Korean; translated English equivalents are provided below: 친환경농산물,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고등학교, high school; 식재료, food ingredients; 경기도교육청,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전남도, Jeonnam-do; 경기도, Gyeonggi-do; 경기도교육청,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학부모, parents; 수산물, marine products; 코로나19, COVID-19; 영양사, nutritionist; 공공급식지원센터, Public Foodservice Support Center; 안전성, safety.
      Survey on consumer perceptions, health benefits and preferences of kindergarten and school foodservices in Korea, including related keywords reported in newspaper: a mixed-methods study
      Category School level
      Total (n = 532) F or t
      Parents of kindergarten/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 = 101)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n = 15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 = 279)
      Age (year) 40.29 ± 5.56c, 1) 10.66 ± 2.44a 14.96 ± 2.37b 17.83 ± 10.58 2672.688***
      Father’s highest educational level2) (n = 156) 8.299
       High school graduate or less 1 (1.6) 1 (2.8) 4 (7.1) 6 (3.8)
       College graduate 42 (65.6) 23 (63.9) 44 (78.6) 109 (69.9)
       Post graduate education 21 (32.8) 12 (33.3) 8 (14.3) 41 (26.3)
      Mother’s highest educational level2) (n = 150) 13.134
       Elementary or less 0 (0.0) 2 (5.4) 0 (0.0) 2 (1.3)
       High school graduate or less 2 (3.2) 2 (5.4) 6 (11.8) 10 (6.7)
       College graduate 42 (67.7) 28 (75.7) 37 (72.5) 107 (71.3)
       Post graduate education 18 (29.0) 5 (13.5) 8 (15.7) 31 (20.7)
      Average monthly household total income2) (n = 108, unit: 10,000 won) 15.185
       150–300 less 2 (3.5) 1 (4.5) 0 (0.0) 3 (2.7)
       300–450 less 6 (10.5) 2 (9.1) 1 (3.2) 9 (8.2)
       450–600 less 14 (24.6) 4 (18.2) 8 (25.8) 26 (23.6)
       600–750 less 8 (14.0) 4 (18.2) 4 (12.9) 16 (14.5)
       750–900 less 11 (19.3) 2 (9.1) 8 (25.8) 21 (19.1)
       900–1,500 less 15 (26.3) 4 (18.2) 8 (25.8) 27 (24.5)
       More than 1,500 1 (1.8) 5 (22.7) 2 (6.5) 8 (7.3)
      Residential area3) (n = 528) 208.656***
       Seoul 34 (34.0) 22 (14.8) 41 (14.7) 97 (18.4)
       Busan 1 (1.0) 0 (0.0) 0 (0.0) 1 (0.2)
       Incheon 0 (0.0) 0 (0.0) 0 (0.0) 0 (0.0)
       Daegu 2 (2.0) 0 (0.0) 0 (0.0) 2 (0.4)
       Daejeon 0 (0.0) 0 (0.0) 0 (0.0) 0 (0.0)
       Gwangju 0 (0.0) 1 (0.7) 1 (0.4) 2 (0.4)
       Ulsan 0 (0.0) 1 (0.7) 1 (0.4) 2 (0.4)
       Sejong 3 (3.0) 1 (0.7) 24 (8.6) 28 (5.3)
       Gyeonggi-do 26 (26.0) 44 (29.5) 27 (9.7) 97 (18.4)
       Chungcheongbuk-do 0 (0.0) 12 (8.1) 33 (11.8) 45 (8.5)
       Chungcheongnam-do 7 (7.0) 7 (4.7) 14 (5.0) 28 (5.3)
       Jeollabuk-do 2 (2.0) 2 (1.3) 3 (1.1) 7 (1.3)
       Jeoollanam-do 1 (1.0) 51 (34.2) 33 (11.8) 85 (16.1)
       Gyeongsangbuk-do 1 (1.0) 2 (1.3) 2 (0.7) 5 (0.9)
       Gyeongsangnam-do 3 (3.0) 0 (0.0) 17 (6.1) 20 (3.8)
       Gangwon-do 9 (9.0) 5 (3.4) 80 (28.7) 94 (17.8)
       Jeju island 11 (11.0) 1 (0.7) 3 (1.1) 15 (2.8)
      Category Perception score by school level
      Total (n = 532) F
      Parents of kindergarten/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 = 101) (n = 152) (n = 279)
      School meals are nutritionally excellent 4.24 ± 0.741) 4.21 ± 1.01 4.26 ± 0.80 4.24 ± 0.85 0.148
      School meals use safe ingredients 4.42 ± 0.68 4.57 ± 0.93 4.38 ± 0.76 4.44 ± 0.80 2.872
      School meals help students develop proper eating habits 4.29 ± 0.79 4.15 ± 1.06 4.16 ± 0.94 4.18 ± 0.95 0.78
      School meals are strictly hygienic 4.42 ± 0.71 4.24 ± 1.08 4.27 ± 0.87 4.29 ± 0.91 1.272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re used in school meals 4.39 ± 1.01 4.62 ± 1.07 4.53 ± 0.97 4.53 ± 1.01 1.539
      School meals help students learn about traditional food culture 3.71 ± 1.10 4.01 ± 1.35 3.94 ± 1.22 3.91 ± 1.24 1.813
      School meals are helpful for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4.32 ± 0.87ab, 2) 4.52 ± 1.28b 4.14 ± 1.10a 4.28 ± 1.13 5.685**
      Student/parent opinions are reflected in school meals 3.63 ± 1.20a 4.41 ± 1.35b 4.19 ± 1.11b 4.15 ± 1.23 13.116***
      School lunch utensils, including plates, spoons, and chopsticks, are clean 4.40 ± 0.76 4.48 ± 1.06 4.24 ± 0.87 4.34 ± 0.91 3.564
      The dining room tables, chairs, etc. are clean 4.30 ± 0.81 4.26 ± 1.29 4.15 ± 0.91 4.21 ± 1.02 1.011
      The school lunch menu is diverse 4.40 ± 0.74 4.35 ± 1.00 4.22 ± 0.95 4.29 ± 0.93 1.851
      A program is underway to reduce food waste 4.23 ± 1.24ab 4.57 ± 1.16b 4.06 ± 1.23a 4.23 ± 1.23 8.570***
      School lunches are delicious 4.13 ± 0.91 4.11 ± 1.18 4.14 ± 1.01 4.13 ± 1.04 0.043
      The dining area (restaurant or class) is clean 4.35 ± 0.70 4.34 ± 1.12 4.27 ± 0.81 4.31 ± 0.89 0.391
      Antibiotic-free livestock products are used in school meals 4.48 ± 1.24a 4.97 ± 1.11b 4.77 ± 1.13a, b 4.77 ± 1.16 5.524**
      Category School level
      Total (n = 532) F
      Parents of kindergarten/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 = 101)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n = 15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 = 279)
      Kindergarten and school lunches rarely provide high-trans fatty acid foods or high-calorie, low-nutrition foods 3.86 ± 0.94b, 1), 2) 3.41 ± 1.00a 3.56 ± 0.98a 3.58 ± 0.992) 6.318**
      Kindergarten and school meals rarely contain fast food or processed foods 3.81 ± 0.96b 3.43 ± 1.05a 3.63 ± 0.96a 3.61 ± 0.99 4.584*
      Kindergarten and school meals use a variety of ingredients, including grains, meat, vegetables, and fruits 4.55 ± 0.59b 4.44 ± 0.83b 4.18 ± 0.78a 4.33 ± 0.78 11.073***
      Kindergarten and school lunches use a variety of cooking methods 4.26 ± 0.73 4.12 ± 1.02 4.05 ± 0.89 4.11 ± 0.90 2.051
      Kindergarten and school lunches use a variety of cooking methods 4.14 ± 0.93 3.95 ± 1.14 3.95 ± 0.88 3.99 ± 0.97 1.490
      Kindergarten and school lunches use a lot of natural and seasonal foods 4.29 ± 0.78b 4.11 ± 0.87ab 3.92 ± 0.91a 4.04 ± 0.89 7.261***
      Kindergarten and school lunches provide fried food no more than twice a week 3.97 ± 0.96b 3.72 ± 1.09ab 3.58 ± 0.97a 3.69 ± 1.01 5.493**
      Category Preference score by school level
      Total (n = 532) F
      Parents of kindergarten/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 = 101) (n = 152) (n = 279)
      Meat side dishes (beef, chicken, pork, etc.) 4.34 ± 0.701) 4.28 ± 0.93 4.39 ± 0.72 4.35 ± 0.78 0.874
      Fruits 4.50 ± 0.69 4.38 ± 0.85 4.39 ± 0.79 4.41 ± 0.79 0.805
      Beverages 2.99 ± 1.03a, 2) 4.30 ± 0.99b 4.46 ± 0.86b 4.12 ± 1.08 94.709***
      Chicken 3.71 ± 0.90a 4.26 ± 1.06b 4.27 ± 0.87b 4.16 ± 0.96 14.394***
      Doenjang-gug 3.98 ± 0.88b 3.66 ± 1.22a 3.69 ± 1.01a, b 3.74 ± 1.05 3.385*
      Fish 3.87 ± 1.07b 3.34 ± 1.25a 3.18 ± 1.22a 3.36 ± 1.22 12.247***
      Vegetables 4.12 ± 0.92b 3.45 ± 1.23a 3.55 ± 1.06a 3.63 ± 1.12 13.018***
      Noodles (e.g. udon, spaghetti, rice noodles) 3.88 ± 0.82a 4.36 ± 0.96b 4.33 ± 0.88b 4.26 ± 0.91 10.947***
      Bread (e.g. pies, tarts, etc.) 3.51 ± 0.87a 3.96 ± 1.13b 4.20 ± 0.93b 4.00 ± 1.02 18.511*** `1
      Multigrain rice 3.85 ± 0.90 3.68 ± 1.12 3.66 ± 0.97 3.70 ± 1.00 1.397
      Fried food 3.36 ± 0.87a 3.82 ± 1.14b 3.98 ± 1.03b 3.82 ± 1.06 12.975***
      Kimchi 3.74 ± 0.91 3.78 ± 1.19 3.80 ± 1.04 3.78 ± 1.06 0.118
      Table 1. Participant characteristics

      n(%) or Mean ± SD.

      Post hoc tests were conducted using Scheffé’s method. Different subscript letters (a–c)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P < 0.05.

      Optional, not required.

      Percentage was calculated as the ratio excluding the number of non-respondents.

      P < 0.001.

      Table 2. Parent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school foodservice by school level

      Mean ± SD.

      5-point scale: 1 = strongly disagree; 2 = disagree; 3 = neutral; 4 = agree; 5 = strongly agree.

      Post hoc tests were conducted using Scheffé’s method. Different subscript letters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P < 0.05.

      P < 0.01,

      P < 0.001.

      Table 3. Parents’ and students’ opinions on the healthiness of kindergarten and school foodservice by school level

      Mean ± SD.

      5-point scale: 1 = strongly disagree; 2 = disagree; 3 = neutral; 4 = agree; 5 = strongly agree.

      Post hoc tests were conducted using Scheffé’s method. Different subscript letters (a, b)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P < 0.05.

      P < 0.05,

      P < 0.01,

      P < 0.001.

      Table 4. School meal preference results by school level

      Mean ± SD.

      5 point scale: 1 = never preferred; 2 = not preferred; 3 = neutral; 4 = preferred; 5 = strongly preferred.

      Post hoc tests were conducted using Scheffé’s method. Different subscript letters (a, b)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P < 0.05.

      P < 0.05,

      P < 0.001.


      Korean J Community Nutr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