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Korean J Community Nutr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OPEN ACCESS

Articles

Page Path
HOME > Korean J Community Nutr > Volume 30(5); 2025 > Article
Research Article
한국 장애인의 영양 위험 관련 요인: 장애인삶 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김성아1)orcid, 최슬기2),†orcid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tional risk among disabled persons in the Republic of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2020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Seong-Ah Kim1)orcid, Seul Ki Choi2),†orcid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25;30(5):364-375.
DOI: https://doi.org/10.5720/kjcn.2025.00262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5

1)서울연구원 포용도시연구실 연구위원

2)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조교수

1)Research Fellow, Urban Society Research Division, The Seoul Institute, Seoul, Korea

2)Assistant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Urban Public Health,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Seul Ki Choi Graduate School of Urban Public Health, University of Seoul, 163 Seoulsiripdae-ro, Dongdaemun-gu, Seoul 02504, Korea Tel: +82-2-6490-6757 Fax: +82-2-6790-6754 Email: skchoi@uos.ac.kr
• Received: September 18, 2025   • Revised: October 13, 2025   • Accepted: October 22, 2025

© 2025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47 Views
  • 1 Download
prev next
  • Objectives
    Persons with disabilities face heightened nutritional risks due to barriers in dietary management, yet research remains limited. This study examined the nutritional health status and 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disabled adults in Korea.
  •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2020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of registered disabled Koreans aged ≥ 20 years. Nutritional health was assessed using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checklist and categorized as low, moderate, or high risk. Multivariat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applied to identify predictors of nutritional risk.
  • Results
    Among adults with disabilities aged 20–64 years, the prevalence of low, moderate, and high nutritional risk was 62.6%, 19.8%, and 17.5%, respectively. In the ≥ 65 years group, the distribution was 56.8% (low), 22.0% (moderate), and 21.2% (high). Moderate to high nutritional risk was most prevalent among individuals with facial deformity or internal organ disability (51.2%) in the 20–64 years group, and those with mental disabilities (61.7%) in the ≥ 65 years group. Significant predictors of high nutritional risk included living alone, lowest income quartile, chronic disease, depressive symptoms, and perceived underweight for both age groups. Compared with visual or speech impairments, facial deformity or internal organ disability (in the 20–64 years group) and physical disability (in the ≥ 65 years group)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derate or high nutritional risk.
  • Conclusion
    Nearly 40% of disabled Koreans are at nutritional risk. Tailored dietary interventions that address disability type,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conditions are required to reduce disparities in nutritional health.
장애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나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법은 의학적인 손상과 건강상태를 기준으로[1] 장애인을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 정의한다[2]. 장애인이 받는 일상생활에서의 제약은 건강한 식생활 영위의 어려움을 포함한다[3].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전반적으로 식사의 질이 낮고, 영양 상태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3-6].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 성인의 영양 섭취를 비교한 국내 선행연구는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영양적으로 부적절할 위험도가 1.5배 높다고 보고했다[6]. 또한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사회적•환경적 요인 및 장애로 인한 추가 지출로 말미암은 경제적 문제로 식품불안정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7-10].
장애와 영양은 모두 인권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식생활과 영양 문제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장애인의 영양 문제는 동일하지 않다. 다양한 장애 유형과 특성에 따라 식생활 관리의 제약 요인과 영양 위험도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적장애인의 경우 인지 능력의 제한으로 인해 올바른 식사 선택에 어려움을 겪는 반면[11], 신체적 장애가 있는 경우 식품을 직접 구입하거나 조리하는 과정에서 실질적인 제약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약물을 복용하는 장애인의 경우 약물과 식품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영양 불량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며, 대사질환, 섭식 장애, 독립적인 식사 능력 제한 등이 건강한 식생활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한다[12]. 장애인의 식생활 관리를 위해서는 장애의 다양한 유형과 특성을 고려해야 하지만, 선행연구는 대부분 발달장애나 지적장애 등 특정 장애 유형에 중점을 두었다[13-17].
식사 선택, 식품 구입 및 조리, 식사 과정 및 섭취 이후 소화 및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약과 사회경제적 취약성, 건강문제 등 장애인의 영양 위험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지역사회 영양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우리나라의 장애인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 불평등 완화 및 지역사회 통합 돌봄의 실현을 위해 장애인의 영양상태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지원해야 할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18]. 특히 장애 유형과 개인의 사회경제적 환경과 건강상태 등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접근은 장애인의 영양 불평등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어려우므로, 장애인의 영양 취약성을 세분화하여 이해하고 이에 대응하는 맞춤형 영양 지원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고, 영양 위험도 관련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thics statement
This study was exempted from review by the University of Seoul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No. 2024-07-010).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국가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한 단면 연구로, STROBE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보고지침을 따라 기술하였다(https://www.strobe-statement.org/).
2. 연구 대상 및 자료원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개발원의 3차 장애인삶 패널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였다. 장애인삶 패널조사는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수행하는 국가승인통계로, 2018년 패널을 구축하고, 1차 조사를 수행하였다. 보건복지부 등록장애인 중 패널로 구축된 장애인과 그들의 가구원을 대상으로 하며, 지역, 장애유형, 장애정도, 성별을 고려하여 이중추출법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19]. 장애인삶 패널조사는 매년 수행하지만, 1, 2차 조사(2018, 2019년)에서는 장애인의 영양위험도 측정도구의 일부 문항만을 조사하였고, 3차년도부터 측정도구 전 문항을 조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3차 장애인삶 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3차 장애인삶 패널조사는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전문면접원이 1:1 대면면접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3차 장애인삶 패널조사에 참여한 장애인 5,259명 중 20세 미만인 858명을 제외한 총 4,401명(20–64세 3,255명, 65세 이상 1,146명)을 연구 대상으로 포함했다.
3. 분석 변수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로 성, 교육수준(중학교 졸업 이하, 고등학교 졸업 이상), 동거인 여부, 가구 소득을 포함했다. 가구소득은 월 평균 가구소득을 가구원 수의 제곱근으로 나누어 가구균등화 소득을 산출한 후, 4분위로 나누었다.
대상자의 장애 특성으로 장애 유형과 중복장애 여부를 포함했다. 장애 유형은 표본설계 시 조사된 주장애를 기준으로,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언어 장애, 지적•자폐성 장애, 정신장애, 내부•안면장애로 분류했다. 여러 종류의 장애가 있다고 보고한 경우 중복장애가 있는 것으로 간주했다.
건강관련 특성은 만성질환, 우울, 체중 인식, 흡연을 포함했다.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질병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 만성질환이 있는 것으로 분류했다. 우울은 축약형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의 11문항을 이용해서 측정했다. 지난 1주일 동안의 경험을 극히 드물다(1)–대부분 그랬다(4)의 4점 리커트 척도로 물었으며, 응답을 0–3점으로 환산한 후 총점에 20/11을 곱하여, 60점 만점으로 계산된 점수가 16점 이상인 경우 우울로 간주했다[20]. 체중 인식은 본인의 몸무게에 대해 적당, 저체중, 과체중 중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서 조사했다. 지난 6개월 동안 담배(전자담배 포함)를 피운 경우 현재 흡연자, 그렇지 않은 경우 비흡연자로 구분했다. 음주, 신체활동 수행도 흡연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건강 특성이나 음주는 영양 위험도 측정 문항에 포함되어 있고, 다양한 장애 유형에 따라 신체활동 가능 여부가 다르므로 분석에 이용하지 않았다.
영양 위험도는 영양점검표(DETERMINE Your Nutritional Health Checklist)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영양점검표는 영양 스크리닝 이니셔티브(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가 노년층의 영양 위험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개발했다[21]. 영양점검표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22], 한글로 번역하여 한국 노인 인구집단에 대해 타당도를 검증한 바 있다[23]. 영양점검표는 영양 위험과 관련된 식행동 및 건강 상태를 평가할 수 10개 문항으로 구성되며, 예/아니오로 응답할 수 있다. 긍정 응답에는 문항에 따라 1–4점을 부여하고, 부정 응답에는 0점을 부여하며, 점수의 범위는 0–21점이다. 영양점검표 총점 2점 이하는 저위험군, 3–5점은 중등위험군, 6점 이상은 고위험군으로 분류했다[22, 23].
4. 통계분석
본 연구는 장애인삶 패널조사의 복합표본설계를 반영하기 위해 SAS 9.4 (SAS Institute Inc.)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해서 분석했다. 모든 분석은 20–64세, 65세 이상으로 나누어 수행했다. 영양 위험도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과 영양점검표 응답의 분포를 비교하기 위해 Rao-Scott Chi-square tests를 수행하여 빈도와 가중비율을 산출했다. 장애인의 영양 위험도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오즈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산출했다. 다중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수행 전 변수 간 다중공선성을 확인하기 위해 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산출했으며, 모든 변수의 VIF가 2 미만이므로 변수 간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 < 0.05로 설정하였다.
1. 장애 유형에 따른 영양 위험도
전체 대상자 중 영양 저위험군은 60.8%, 중등위험군 20.5%, 고위험군 18.7%였다. 20–64세는 저위험군 62.6%, 중등위험군 19.8%, 고위험군 17.5%였으며, 65세 이상은 저위험군 56.8%, 중등위험군 22.0%, 고위험군 21.2%로 65세 이상 장애인의 영양위험도가 더 높았다.
장애 유형에 따라 영양 위험도의 분포가 유의하게 달랐다(P < 0.001) (Fig. 1). 20–64세 장애인은 내부•안면장애인(27.2%)이 가장 높았으며, 뇌병변장애인(22.5%), 정신장애인(20.0%)의 순으로 영양 고위험군의 비율이 높았다. 65세 이상 장애인은 정신장애인(36.8%)이 영양 고위험군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뇌병변장애인(25.9%), 내부•안면장애인(24.7%)의 순으로 영양 고위험군의 비율이 높았다. 20–64세의 경우 다른 장애 유형에 비해 지적•자폐성 장애인(71.5%)과 청각•언어장애인(69.1%), 시각장애인(69.0%), 지체장애인(66.6%) 중 영양 저위험군의 비율이 높았다. 65세 이상은 다른 장애 유형보다 청각•언어장애인(62.9%), 시각장애인(62.0%)의 영양 저위험군 비율이 높았으며, 내부•안면장애인의 영양 고위험군의 비율이 높음과 동시에 저위험군의 비율(58.3%)도 높았다.
2. 영양 위험도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특성
연구대상자의 영양 위험도에 따른 특성을 20–64세 대상자는 Table 1, 65세 이상 대상자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20–64세 장애인은 성별을 제외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에 따라 영양위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영양 고위험군에 혼자 살거나(35.4%), 가구소득 1분위(36.9%), 중학교 졸업 이하(41.5%)인 대상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영양 고위험군은 중등위험군이나 저위험군에 비해 전반적인 건강상태가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 고위험군은 중복 장애(8.1%), 만성질환 보유(79.9%), 우울 증상(73.8%), 저체중(49.5%)이나 과체중(29.4%), 현재 흡연(17.9%)을 보고한 대상의 비율이 중등위험군이나 저위험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65세 이상 장애인은 동거인 여부, 가구소득, 만성질환, 우울, 체중 인식에 따라 영양위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20–64세 장애인과 유사하게 영양 고위험군에 혼자 사는 장애인(46.3%), 가구소득 1분위(56.0%), 만성질환자(87.3%), 우울 증상(77.0%), 저체중(24.2%)을 보고한 사람의 비율이 중등위험군이나 저위험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3. 영양점검표 응답에 따른 식생활 문제
영양점검표 각 항목의 응답을 통해 식생활 문제를 분석한 결과(Table 3), 연구 대상 장애인의 식생활 문제로 가장 많이 보고된 것은 혼자 밥을 먹는 경우가 많은 것(20–64세 34.5%, 65세 이상 35.2%)이었다. 또한 하루 세 가지 이상의 약 복용(20–64세 21.4%, 65세 이상 29.7%), 장보고, 음식 만들고, 식사하는 것이 감당하기 힘들 때가 있거나(20–64세 21.1%, 65세 이상 26.3%), 채소, 과일, 유제품 등을 거의 먹지 않는다고(20–64세 20.7%, 65세 이상 23.4%) 보고한 대상자가 많았다.
영양 위험도에 따라 영양점검표 항목 별 응답이 유의하게 달랐다(P < 0.001). 저위험군은 혼자 식사(20–64세 14.1%, 65세 이상 17.0%), 3개 이상의 처방약 복용(65세 이상 11.5%) 외의 문항은 긍정 응답의 비율이 10% 미만이었다. 중등위험군이 가장 많이 보고한 식생활 문제는 혼자 밥을 먹는 것으로 20–64세(62.9%)가 65세 이상(49.6%)보다 혼자 식사한다고 보고한 비율이 높았다. 또한 20–64세 영양 중등위험군의 약 1/3, 65세 이상 영양 중등위험군의 40% 이상이 하루에 세 가지 이상의 처방약을 복용하고, 과일, 채소, 유제품을 거의 먹지 않거나, 장보고, 음식 만들고, 식사하는 것이 감당하기 힘들 때가 있다고 보고했다. 영양 고위험군이 가장 많이 보고한 식생활 문제는 20–64세는 혼자 밥을 먹는 것(75.5%), 65세 이상은 장보고, 음식 만들고, 식사하는 것이 감당하기 힘들 때가 있는 것(72.0%)이었으며, 그 외 많이 보고한 식생활 문제는 중등위험군과 동일했다. 특징적으로 영양 고위험군은 돈이 부족해 필요한 음식을 구입하지 못할 때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20–64세 61.0%, 65세 이상 55.2%로 높았으나 저위험군(0.0%)이나 중등위험군(20–64세 5.7%, 65세 이상 2.9%)은 해당 문제를 보고한 비율이 낮았다.
4. 장애인의 영양 위험도 관련 요인
장애인의 영양 위험도와 연관성이 있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다중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Table 4에 제시하였다. 장애인의 영양 위험도와 관련 있는 요인은 20–64세와 65세 이상 모두에서 독거, 저소득, 일부 장애유형, 만성질환, 우울증상, 정상체중이 아니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64세 장애인은 혼자 사는 경우 동거인이 있는 경우에 비해 영양 저위험군보다 중등위험군인 오즈비가 1.73배(95% CI 1.21–2.47), 고위험군인 오즈비가 2.09배(95% CI 1.49–2.94) 높았고, 65세 이상 혼자 사는 장애인은 그렇지 않은 장애인에 비해 영양 고위험군인 오즈비가 2.06배(95% CI 1.23–3.44) 높았다. 가구소득 수준이 가장 낮은 장애인은 가장 높은 장애인에 비해 영양 고위험군인 오즈비가 높았다(20–64세 OR 1.87, 95% CI 1.18–2.95, 65세 이상 OR 2.21, 95% CI 1.12–4.34). 20–64세 안면•내부장애인은 중등위험군(OR 1.52, 95% CI 1.02–2.27)이나 고위험군(OR 2.21, 95% CI 1.31–3.72)인 오즈비가, 65세 이상 지체장애인은 중등위험군(OR 2.60, 95% CI 1.37–4.93)인 오즈비가 청각•언어장애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만성질환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중등위험군(20–64세 OR 2.53, 95% CI 1.89–3.38, 65세 이상 OR 2.96, 95% CI 1.55–5.62)이나 고위험군(20–64세 OR 2.77, 95% CI 1.94–3.97, 65세 이상 OR 2.82, 95% CI 1.51–5.25), 우울증상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에 비해 중등위험군(20–64세 OR 1.68, 95% CI 1.28–2.21, 65세 이상 OR 1.70, 95% CI 1.08–2.69)이나 고위험군(20–64세 OR 3.93, 95% CI 2.84–5.44, 65세 이상 OR 5.36, 95% CI 3.30–8.70)인 오즈비가 높았다. 20–64세 장애인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체중이 정상체중인 경우보다 저체중인 경우 고위험군(OR 2.20, 95% CI 1.50–3.24), 과체중인 경우 중등위험군(OR 2.24, 95% CI 1.58–3.18)이나 고위험군(OR 3.45, 95% CI 2.30–5.15)인 오즈비가 높았다. 65세 이상 장애인은 저체중으로 인식하는 경우 정상체중으로 인식하는 대상에 비해 중등위험군(OR 2.46, 95% CI 1.36–4.43)이나 고위험군(OR 2.79, 95% CI 1.58–4.92)인 오즈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과체중 인식은 영양위험도와 관련 없었다.
국내 등록장애인을 대표할 수 있는 장애인삶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장애인의 영양위험도를 파악한 결과 조사 대상의 1/3 이상이 중등도 이상의 영양위험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안면장애, 뇌병변장애, 정신장애인 경우 다른 유형의 장애를 가진 경우보다 영양 고위험군인 비율이 높았다. 영양위험 관련 요인은 20–64세와 65세 이상 장애인에서 공통적으로 독거, 저소득, 만성질환, 우울증상, 저체중 인식이었다. 20–64세 장애인은 내부•안면장애와 과체중 인식이, 65세 이상 장애인은 지체장애가 영양위험도와 관련 있었다.
연구 대상으로 포함된 20–64세 장애인의 37.3%, 65세 이상 장애인의 43.2%가 중등도 이상의 영양위험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영양위험도 측정도구를 이용한 국내 선행연구에서 보고한 65세 이상 노인의 영양위험 비율 28.9%–34.8%보다 높은 수준으로[24, 25], 장애인의 영양문제가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영양문제는 장애와 상호 연관성이 있다. 영양불량은 생애 초기 발달 지연 및 질환과 장애의 발생과 연관되며[26], 성인기 이후에도 장애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영양불량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허약, 근감소증과 비만, 당뇨병, 심혈관계질환, 골다공증 등 식이 관련 질환은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저해하고, 골절, 뇌졸중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져서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이미 장애를 가진 경우에는 식사 준비와 섭취가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비장애인에 비해 식생활 정보 접근성이 부족하여 영양불량 위험이 더욱 커진다. 즉, 영양불량과 장애는 서로를 악화시키는 악순환 구조를 형성한다[26, 27].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구체적인 영양 위험에 대한 연구와 이들을 위한 식생활 관리 및 지원 제도는 부족하다. 국민영양관리법 제11조에 장애인이 영양취약계층으로 명시되어 있지만 임산부, 영유아, 아동, 노인 등 다른 영양취약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책적 관심이 부족하다. 선행연구에서도 장애인의 영양문제 이해와 대응을 위한 국가 조사와 맞춤형 식생활 및 영양관리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했지만[18], 여전히 제도적 대응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장애인을 영양 관리의 우선 대상으로 포함하고, 이들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영양정책과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영양불량과 장애의 악순환 고리를 끊고, 장애인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시급하다.
연구 결과, 장애유형과 연령대에 따라 중등도 이상의 영양위험도를 가진 대상의 비율에 차이가 있었다. 장애인의 식생활과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가 지적•자폐성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지만[11-16], 본 연구 결과 20–64세 지적•자폐성 장애인의 영양위험도는 여러 장애유형 중 가장 낮았으며, 65세 이상 지적•자폐성 장애인의 영양위험도는 평균 수준이었다. 본 연구에서 영양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정신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의 식생활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장애인의 영양수준 향상과 건강 증진을 위해 다양한 장애유형의 식생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른 요인을 통제하고 장애유형과 영양위험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청각•언어장애인과 비교할 때 20–64세는 안면•내부장애인이 영양 중등•고위험군인 오즈비가 높았다. 65세 이상 지체장애인은 청각•언어장애인에 비해 중등도 영양위험군인 오즈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고위험군인 오즈비는 유의하지 않아 지체장애가 영양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대상에 포함된 20–64세 안면•내부장애인 중 안면장애인의 비율이 2%에 불과하므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영양위험도의 관련성은 주로 내부장애가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내부장애는 신장장애, 심장장애, 간장애, 장루•요루장애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질환은 질병과 증상의 관리, 합병증 예방을 위해 약물치료와 함께 식생활 관리가 필수적이다[28-30]. 예를 들어, 신장장애인은 엄격한 저염, 저단백, 저칼륨 식이를 유지해야 하고, 장루•요루장애인은 특정 식품 섭취 시 장폐색 등의 위험에 노출된다[28, 30]. 이러한 질환 맞춤형 식이요법의 복잡성으로 인해 내부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식품 선택의 폭이 극도로 제한되며, 적절히 관리하지 못할 경우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28-30]. 특히 직장생활이나 사회활동을 하는 20–64세 성인 내부장애인은 외식이나 단체 식사 환경에서 식이요법을 적용하는 데 더 큰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내부장애인의 영양관리를 위해 개인의 질병 상태와 가정 및 사회생활에서의 식사 환경을 반영한 전문적인 영양상담과 조리 지원 서비스가 통합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한편 본 연구 대상 장애인의 영양위험 관련 요인으로 나타난 독거, 저소득, 신체적•정신적 건강문제는 장애인뿐만 아니라 비장애인에게도 영양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다[31-33]. 이러한 요인들은 장애인에게 더욱 복합적이고 심각하게 작용한다. 장애로 인한 물리적, 사회경제적 제약(예: 취업 기회 제한)은 경제적(저소득), 사회적(독거) 취약성을 심화시키고, 식품의 구매, 조리, 섭취 과정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다. 영양 위험도 측정 문항 중 혼자 식사, 식품 구매, 조리, 식사의 어려움을 보고한 비율이 높은 것은 영양불량과 장애가 서로를 악화시키는 기전을 반영한 결과이다. 또한 영양 고위험군은 경제적 문제로 인해 음식 구입에 어려움을 겪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의 식생활 관리를 위한 자원 부족이 영양불량과 장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장애인의 연령대와 관계없이 영양위험도 관련 요인이 유사하게 나타난 것은 성인기 장애인의 식생활 관리가 이들이 노인기가 되었을 때 영양위험도 증가를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양 위험의 관련 요인인 사회경제적 취약성과 건강문제는 장애인의 생애 전반에 걸쳐 지속되거나 오히려 심화되는 경향이 있다[34]. 따라서 성인기 또는 그 이전부터 장애인의 취약 요인을 선별하여 조기에 맞춤형 식생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현재의 영양 상태 개선뿐만 아니라 노년기 만성질환 및 기능 저하의 위험을 낮추고 건강한 노화를 지원하는 장기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애인의 식생활 관리는 단순히 식단 개선을 넘어, 이들이 처한 복합적인 사회경제적 환경과 건강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전 생애주기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개입이 되어야 한다.
Limitations
본 연구에서 장애인의 영양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한 영양점검표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타당도가 검증되어[18, 19] 노인의 영양상태를 측정하는 연구들에 활용되고 있으나, 장애인을 대상으로 타당도가 평가되진 않았다. 다만 이 영양점검표에는 노인과 장애인 등의 기능적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인 일상생활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의 제한, 약물 복용, 치아 문제 등과 관련된 문항이 포함되어 있어 장애인의 생활 기능과 일상 제약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장애인을 대상으로 본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해야 하며, 추가적으로 장애인의 특성을 좀 더 잘 반영할 수 있는 영양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단면연구 설계의 특성상 독립변수 및 종속변수 간 시간적 선후관계를 확인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영양위험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난 요인들과 영양위험도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향후 장애인의 식생활과 관련된 전향적 연구의 수행을 통해 영양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인과성을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Conclusion
본 연구는 국내 등록장애인을 대표할 수 있는 「장애인삶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의 영양 위험 수준과 그 관련 요인을 규명한 첫번째 연구이다. 장애인의 영양 위험도가 높은 수준이지만 아직까지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영양 관리 정책과 제도적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장애인을 영양 취약계층으로서 명확히 인식하고 장애 특성과 생활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영양 지원 전략을 수립하여 장애인의 건강권을 보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장애인 영양 지원 정책과 지역사회 영양사업의 방향 설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ONFLICT OF INTEREST

There are no financial or other issues that might lead to conflict of interest.

FUNDING

None.

DATA AVAILABILITY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penly available through the data portal of statistics for disabled people, operated by the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https://koddi.or.kr/stat).

Fig. 1.
Distribution of nutritional risk by disability type and age among the study population. (A) Participants aged 20–64 years. (B) Participants aged ≥ 65 years. Values are presented as weighted %. Rao-Scott Chi-square tests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nutritional risk by disability type.
kjcn-2025-00262f1.jpg
Table 1.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aged 20–64 years by nutritional risk
Total Nutritional risk P-values1)
Low Moderate High
n Weighted % n Weighted % n Weighted % n Weighted %
Total 3,255 100 2,014 62.6 649 19.8 592 17.5 -
Sex
 Male 1,804 57.0 1,139 56.6 352 55.9 313 59.6 0.587
 Female 1,451 43.0 875 43.4 297 44.1 279 40.4
Living arrangement
 Living alone 661 21.9 305 16.7 148 26.5 208 35.4 < 0.001
 Living with other members 2,594 78.1 1,709 83.3 501 73.5 384 64.6
Household income
 Q1 (the lowest) 728 21.5 355 16.7 152 22.8 221 36.9 < 0.001
 Q2 790 23.3 452 21.7 164 24.9 174 27.1
 Q3 849 27.2 568 29.9 182 28.9 99 15.4
 Q4 (the highest) 888 28.1 639 31.7 151 23.4 98 20.7
Education
 Middle school graduate or less 968 34.4 537 32.0 205 35.6 226 41.5 0.013
 High school graduate or higher 2,287 65.6 1,477 68.0 444 64.4 366 58.5
Multiple disabilities
 Yes 187 4.5 98 3.5 40 4.4 49 8.1 0.001
 No 3,068 95.5 1,916 96.5 609 95.6 543 91.9
Chronic disease
 Yes 1,877 59.3 948 48.9 459 74.2 470 79.9 < 0.001
 No 1,378 40.7 1,066 51.1 190 25.8 122 20.1
Depression
 Yes 1,551 44.8 748 34.5 359 51.6 444 73.8 < 0.001
 No 1,704 55.2 1,266 65.5 290 48.4 148 26.2
Perceived body weight
 Underweight 421 12.4 204 10.1 84 12.0 284 49.5 < 0.001
 Normal 2,185 68.2 1,508 75.7 393 61.0 133 21.1
 Overweight 649 19.4 302 14.3 172 27.0 175 29.4
Smoking
 Current smoker2) 376 12.4 191 10.4 82 13.8 103 17.9 0.001
 Non-smoker 2,879 87.6 1,823 89.6 567 86.2 489 82.1

1)P-values from Rao-Scott Chi-square tests.

2)Including smokers of electronic cigarette.

Table 2.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aged ≥ 65 years by nutritional risk
Total Nutritional risk P-values1)
Low Moderate High
n Weighted % n Weighted % n Weighted % n Weighted %
Total 1,146 100 638 56.8 249 22.0 259 21.2
Sex
 Male 596 54.1 350 54.1 121 57.6 125 50.6 0.568
 Female 550 45.9 288 45.9 128 42.4 134 49.4
Living arrangement
 Living alone 294 27.9 133 22.5 59 24.1 102 46.3 < 0.001
 Living with other members 852 72.1 505 77.5 190 75.9 157 53.7
Household income
 Q1 (the lowest) 368 32.8 169 25.7 68 28.9 131 56.0 < 0.001
 Q2 316 26.5 186 28.5 77 28.2 53 19.3
 Q3 263 23.1 160 26.0 59 24.2 44 14.0
 Q4 (the highest) 199 17.6 123 19.7 45 18.8 31 10.8
Education
 Middle school graduate or less 736 67.3 385 65.6 174 69.8 177 69.6 0.601
 High school graduate or higher 410 32.7 253 34.4 75 30.2 82 30.4
Multiple disabilities
 Yes 79 5.5 37 4.2 24 9.5 18 4.8 0.052
 No 1,067 94.5 601 95.8 225 90.5 241 95.2
Chronic disease
 Yes 891 77.5 446 69.6 215 88.3 230 87.3 < 0.001
 No 255 22.5 192 30.4 34 11.7 29 12.7
Depression
 Yes 597 47.4 258 35.1 140 50.8 199 77.0 < 0.001
 No 549 52.6 380 64.9 109 49.2 60 23.0
Perceived body weight
 Underweight 207 16.1 82 11.5 51 20.5 74 24.2 < 0.001
 Normal 761 69.3 479 77.4 146 60.4 136 57.0
 Overweight 178 14.5 77 11.2 52 19.0 49 18.8
Smoking
 Current smoker2) 80 8.9 37 7.9 16 8.7 27 11.6 0.531
 Non-smoker 1,066 91.1 601 92.1 233 91.3 232 88.4

1)P-values from Rao-Scott Chi-square tests.

2)Including smokers of electronic cigarette.

Table 3.
Affirmative responses of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checklist items among disabled persons by age and nutritional risk
Item 20–64 years ≥ 65 years
Total (n = 3,255) Low risk (n = 2,014) Moderate risk (n = 649) High risk (n = 592) P-values Total (n = 1,146) Low risk (n = 638) Moderate risk (n=249) High risk (n = 259) P-values1)
I eat fewer than two meals per day 1.0 0.0 0.6 5.1 -2) 0.2 0.0 0.2 0.8 -2)
I have an illness or condition that made me change the kind and /or amount of food I eat 18.7 6.3 35.9 43.6 < 0.001 20.9 7.7 29.2 47.9 < 0.001
I eat few fruits or vegetables, or milk products 20.7 6.4 36.3 54.2 < 0.001 23.4 4.3 41.9 55.3 < 0.001
I have tooth or mouth problems that make it hard for me to eat 8.5 0.9 8.2 36.0 < 0.001 15.1 0.5 20.2 49.0 < 0.001
I don’t always have enough money to buy the food I need 11.8 0.0 5.7 61.0 -a 12.4 0.0 2.9 55.2 -2)
I eat alone most of the time 34.5 14.1 62.9 75.5 < 0.001 35.2 17.0 49.6 69.0 < 0.001
I take three or more different prescribed or over-the-counter drugs a day 21.4 5.3 36.5 62.1 < 0.001 29.7 11.5 42.8 65.0 < 0.001
Without wanting to, I have lost or gained 5 kg or more in the last six months 7.4 0.8 9.3 28.7 < 0.001 4.9 1.1 2.2 17.7 < 0.001
I am not always physically able to shop, cook and/or feed myself 21.1 2.7 34.6 71.5 < 0.001 26.3 3.7 40.5 72.0 < 0.001
I have three or more drinks of beer, liquor or wine almost every day 1.3 0.8 2.4 1.7 0.053 1.5 0.9 2.1 2.5 0.271

Weighted %.

The weighted percentage of people who responded “Yes” for each item.

1)P-values from Rao-Scott Chi-square tests

2)P-values from Rao-Scott Chi-square tests could not be computed because at least one table cell has 0 frequency.

Table 4.
Multivariat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estimating predictors of moderate and high nutritional risk among disabled persons by age
Characteristic Category 20–64 years ≥ 65 years
Moderate risk vs. low risk High risk vs. low risk Moderate risk vs. low risk High risk vs. low risk
OR 95% CI OR 95% CI OR 95% CI OR 95% CI
Sex (ref: male) Female 0.95 (0.71–1.26) 0.83 (0.60–1.16) 0.76 (0.47–1.23) 0.96 (0.59–1.56)
Living arrangement (ref: living with others) Living alone 1.73 (1.21–2.47) 2.09 (1.49–2.94) 1.15 (0.68–1.95) 2.06 (1.23–3.44)
Household income (ref: Q4) Q1 1.29 (0.85–1.98) 1.87 (1.18–2.95) 0.90 (0.45–1.82) 2.21 (1.12–4.34)
Q2 1.24 (0.83–1.84) 1.20 (0.76–1.89) 0.82 (0.42–1.59) 0.86 (0.42–1.76)
Q3 1.12 (0.78–1.62) 0.61 (0.38–0.97) 0.90 (0.44–1.83) 0.80 (0.40–1.60)
Education (ref: high school graduate or higher) Middle school graduate or less 0.96 (0.72–1.29) 1.11 (0.81–1.52) 1.08 (0.64–1.81) 0.95 (0.60–1.50)
Disability type (ref: hearing or speech impairment) Physical disability 0.85 (0.56–1.30) 1.09 (0.62–1.93) 2.60 (1.37–4.93) 0.84 (0.43–1.65)
Encephalopathy 1.21 (0.78–1.87) 1.46 (0.85–2.50) 1.41 (0.71–2.79) 1.02 (0.51–2.03)
Visual impairment 0.73 (0.43–1.25) 1.02 (0.58–1.81) 1.35 (0.67–2.73) 0.61 (0.29–1.26)
Intellectual disability or autism 0.87 (0.49–1.56) 0.82 (0.42–1.63) 1.66 (0.32–8.57) 0.38 (0.10–1.42)
Mental disability 0.99 (0.58–1.67) 0.91 (0.46–1.79) 2.29 (0.88–5.97) 1.50 (0.56–4.02)
Facial deformity or internal organ disability 1.52 (1.02–2.27) 2.21 (1.31–3.72) 1.03 (0.54–1.95) 0.99 (0.49–2.01)
Multiple disabilities (ref: no) Yes 0.99 (0.57–1.72) 1.46 (0.86–2.50) 2.15 (0.90–5.11) 0.75 (0.30–1.91)
Chronic disease (ref: no) Yes 2.53 (1.89–3.38) 2.77 (1.94–3.97) 2.96 (1.55–5.62) 2.82 (1.51–5.25)
Depression (ref: no) Yes 1.68 (1.28–2.21) 3.93 (2.84–5.44) 1.70 (1.08–2.69) 5.36 (3.30–8.70)
Perceived body weight (ref: normal) Underweight 1.22 (0.83–1.79) 2.20 (1.50–3.24) 2.46 (1.36–4.43) 2.79 (1.58–4.92)
Overweight 2.24 (1.58–3.18) 3.45 (2.30–5.15) 1.79 (1.00–3.19) 1.52 (0.80–2.89)
Smoking (ref: no smoker) Current smoker 1.32 (0.88–1.97) 1.53 (0.99–2.38) 1.22 (0.50–2.97) 1.71 (0.82–3.57)

OR, odds ratio; 95% CI, 95% confidence interval.

  • 1. Kim SY, Park JH. Disability epidemiology and health policy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22; 65(10): 655-661. ArticlePDF
  • 2.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ternet]. Ministry of Government; 2025 [updated 2025 Apr 22; cited 2025 Oct 13].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lsInfoP.do?lsId=000187&ancYnChk=0#0000
  • 3. An R, Chiu CY, Zhang Z, Burd NA. Nutrient intake among US adults with disabilities. J Hum Nutr Diet 2015; 28(5): 465-475. PubMed
  • 4. Bertoli S, Battezzati A, Merati G, Margonato V, Maggioni M, Testolin G, et al.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patterns in disabled people. Nutr Metab Cardiovasc Dis 2006; 16(2): 100-112. ArticlePubMed
  • 5. An R, Chiu CY, Andrade F. Nutrient intake and use of dietary supplements among US adults with disabilities. Disabil Health J 2015; 8(2): 240-249. ArticlePubMed
  • 6. Park JE, Kim SY, Park JH. Inadequate nutrient intake in people with disabilities: national representative sample in Korea. Eur J Public Health 2023; 33(Suppl 2): ckad160.767.ArticlePMCPDF
  • 7. Schwartz N, Buliung R, Wilson K. Disability and food access and insecurity: a scoping review of the literature. Health Place 2019; 57: 107-121. ArticlePubMed
  • 8. Moore R, Dada S, Emmambux MN, Samuels A. Food and nutrition security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A scoping review. Glob Food Secur 2021; 31: 100581.Article
  • 9. Schwartz N, Buliung R, Wilson K. Experiences of food access among disabled adults in Toronto, Canada. Disabil Soc 2021; 38(4): 610-634. Article
  • 10. Park JE, Kim SY, Kim SH, Jeoung EJ, Park JH. Household food insecurity: comparison between families with and without members with disabilitie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20; 17(17): 6149.ArticlePubMedPMC
  • 11. Kolset SO, Nordstrøm M, Hope S, Retterstøl K, Iversen PO. Securing rights and nutritional health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a pressing challenge. Food Nutr Res 2018; 62: 1268.ArticlePDF
  • 12. Ptomey LT, Wittenbrook W. Position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nutrition services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pecial health care needs. J Acad Nutr Diet 2015; 115(4): 593-608. ArticlePubMed
  • 13. Humphries K, Traci MA, Seekins T. Nutrition and adults with intellectual 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results. Intellect Dev Disabil 2009; 47(3): 163-185. ArticlePubMedPDF
  • 14. Koritsas S, Iacono T. Weight, nutrition, food choice, and physical activity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 Intellect Disabil Res 2016; 60(4): 355-364. ArticlePubMedPDF
  • 15. Hoey E, Staines A, Walsh D, Corby D, Bowers K, Belton S, et al. An examination of the nutritional intake and anthropometric status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ults from the SOPHIE study. J Intellect Disabil 2017; 21(4): 346-365. ArticlePubMedPDF
  • 16. Jung CS, Kim DW.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and annual changes in biochemical indicators according to long-term food intake in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ving in welfare facilities. Culin Sci Hospitality Res 2018; 24(4): 52-62.
  • 17. Ahn MY, Moon HW, Chung HY, Park YK. Nutrient and carotenoid intakes and dietary habits in mentally disabled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3): 208-219. Article
  • 18. Park JE, Kim YJ, Kim SY, Park JH. The needs and prioritization of nutrition and dietary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 exploratory study. Korean J Community Nutr 2024; 29(5): 431-443. ArticlePubMedPMCPDF
  • 19. Kim HJ, Kim TY, Lee HS. User guide for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1st-3rd waves).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2022.
  • 20. Hoe M. Exploring latent trajectory classes of change in depression measured using CES-D. Korean J Soc Welf 2014; 66(1): 307-331. Article
  • 21. White JV, Dwyer JT, Posner BM, Ham RJ, Lipschitz DA, Wellman NS.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public awareness checklist and screening tools. J Am Diet Assoc 1992; 92(2): 163-167. ArticlePubMed
  • 22. Posner BM, Jette AM, Smith KW, Miller DR. Nutrition and health risks in the elderly: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Am J Public Health 1993; 83(7): 972-978. ArticlePubMedPMC
  • 23. Moon HK, Kong JE. Reliability of nutritional screening using DETERMINE checklist for elderly in Korean rural areas by season. Korean J Commun Nutr 2009; 14(3): 340-353.
  • 24. Park JH, Hwang HY, Chun YE. Factors associaated with nutritional risk in the elderly: focusing on ADL/IADL. Asia-Pac J Converg Res Interchange 2023; 9(11): 549-562. Article
  • 25. Lee SE. Nutritional risk factors in community-dwelling older living alone: a comparison between young-old and old-old. J Korea Acad Ind Coop Soc 2024; 25(7): 194-202. Article
  • 26. Groce N, Challenger E, Berman-Bieler R, Farkas A, Yilmaz N, Schultink W, et al. Malnutrition and disability: unexplored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Paediatr Int Child Health 2014; 34(4): 308-314. ArticlePubMedPMC
  • 27. Nishioka S, Wakabayashi H. Interaction between malnutrition and physical disability in older adults: is there a malnutrition-disability cycle? Nutr Rev 2023; 81(2): 191-205. ArticlePubMedPDF
  • 28. Kalantar-Zadeh K, Fouque D. Nutritional manage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 N Engl J Med 2017; 377(18): 1765-1776. ArticlePubMed
  • 29. Kida K, Miyajima I, Suzuki N, Greenberg BH, Akashi YJ. Nutritional management of heart failure. J Cardiol 2023; 81(3): 283-291. ArticlePubMed
  • 30. Michońska I, Polak-Szczybyło E, Sokal A, Jarmakiewicz-Czaja S, Stępień AE, Dereń K. Nutritional issues faced by patients with intestinal stoma: a narrative review. J Clin Med 2023; 12(2): 510.ArticlePubMedPMC
  • 31. Kim G, Hwang M, Lee S, Park YH. Malnutrition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men living alone. Nutr Res Pract 2024; 18(3): 400-411. ArticlePubMedPMCPDF
  • 32. Ramón-Arbués E, Granada-López JM, Martínez-Abadía B, Echániz-Serrano E, Antón-Solanas I, Jerue BA. Factors related to diet quality: a cross-sectional study of 1055 university students. Nutrients 2021; 13(10): 3512.ArticlePubMedPMC
  • 33. Alem AZ, Yeshaw Y, Liyew AM, Tessema ZT, Worku MG, Tesema GA, et al.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women in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findings from 52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BMC Public Health 2023; 23(1): 1479.ArticlePubMedPMCPDF
  • 34. Jeon H. A study on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health among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age differences. Disabil Employ 2014; 24(4): 50-70. Article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Cite
        CIT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tional risk among disabled persons in the Republic of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2020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Korean J Community Nutr. 2025;30(5):364-375.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5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We recommend
      Related articles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tional risk among disabled persons in the Republic of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2020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Image
      Fig. 1. Distribution of nutritional risk by disability type and age among the study population. (A) Participants aged 20–64 years. (B) Participants aged ≥ 65 years. Values are presented as weighted %. Rao-Scott Chi-square tests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nutritional risk by disability type.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tional risk among disabled persons in the Republic of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2020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Total Nutritional risk P-values1)
      Low Moderate High
      n Weighted % n Weighted % n Weighted % n Weighted %
      Total 3,255 100 2,014 62.6 649 19.8 592 17.5 -
      Sex
       Male 1,804 57.0 1,139 56.6 352 55.9 313 59.6 0.587
       Female 1,451 43.0 875 43.4 297 44.1 279 40.4
      Living arrangement
       Living alone 661 21.9 305 16.7 148 26.5 208 35.4 < 0.001
       Living with other members 2,594 78.1 1,709 83.3 501 73.5 384 64.6
      Household income
       Q1 (the lowest) 728 21.5 355 16.7 152 22.8 221 36.9 < 0.001
       Q2 790 23.3 452 21.7 164 24.9 174 27.1
       Q3 849 27.2 568 29.9 182 28.9 99 15.4
       Q4 (the highest) 888 28.1 639 31.7 151 23.4 98 20.7
      Education
       Middle school graduate or less 968 34.4 537 32.0 205 35.6 226 41.5 0.013
       High school graduate or higher 2,287 65.6 1,477 68.0 444 64.4 366 58.5
      Multiple disabilities
       Yes 187 4.5 98 3.5 40 4.4 49 8.1 0.001
       No 3,068 95.5 1,916 96.5 609 95.6 543 91.9
      Chronic disease
       Yes 1,877 59.3 948 48.9 459 74.2 470 79.9 < 0.001
       No 1,378 40.7 1,066 51.1 190 25.8 122 20.1
      Depression
       Yes 1,551 44.8 748 34.5 359 51.6 444 73.8 < 0.001
       No 1,704 55.2 1,266 65.5 290 48.4 148 26.2
      Perceived body weight
       Underweight 421 12.4 204 10.1 84 12.0 284 49.5 < 0.001
       Normal 2,185 68.2 1,508 75.7 393 61.0 133 21.1
       Overweight 649 19.4 302 14.3 172 27.0 175 29.4
      Smoking
       Current smoker2) 376 12.4 191 10.4 82 13.8 103 17.9 0.001
       Non-smoker 2,879 87.6 1,823 89.6 567 86.2 489 82.1
      Total Nutritional risk P-values1)
      Low Moderate High
      n Weighted % n Weighted % n Weighted % n Weighted %
      Total 1,146 100 638 56.8 249 22.0 259 21.2
      Sex
       Male 596 54.1 350 54.1 121 57.6 125 50.6 0.568
       Female 550 45.9 288 45.9 128 42.4 134 49.4
      Living arrangement
       Living alone 294 27.9 133 22.5 59 24.1 102 46.3 < 0.001
       Living with other members 852 72.1 505 77.5 190 75.9 157 53.7
      Household income
       Q1 (the lowest) 368 32.8 169 25.7 68 28.9 131 56.0 < 0.001
       Q2 316 26.5 186 28.5 77 28.2 53 19.3
       Q3 263 23.1 160 26.0 59 24.2 44 14.0
       Q4 (the highest) 199 17.6 123 19.7 45 18.8 31 10.8
      Education
       Middle school graduate or less 736 67.3 385 65.6 174 69.8 177 69.6 0.601
       High school graduate or higher 410 32.7 253 34.4 75 30.2 82 30.4
      Multiple disabilities
       Yes 79 5.5 37 4.2 24 9.5 18 4.8 0.052
       No 1,067 94.5 601 95.8 225 90.5 241 95.2
      Chronic disease
       Yes 891 77.5 446 69.6 215 88.3 230 87.3 < 0.001
       No 255 22.5 192 30.4 34 11.7 29 12.7
      Depression
       Yes 597 47.4 258 35.1 140 50.8 199 77.0 < 0.001
       No 549 52.6 380 64.9 109 49.2 60 23.0
      Perceived body weight
       Underweight 207 16.1 82 11.5 51 20.5 74 24.2 < 0.001
       Normal 761 69.3 479 77.4 146 60.4 136 57.0
       Overweight 178 14.5 77 11.2 52 19.0 49 18.8
      Smoking
       Current smoker2) 80 8.9 37 7.9 16 8.7 27 11.6 0.531
       Non-smoker 1,066 91.1 601 92.1 233 91.3 232 88.4
      Item 20–64 years ≥ 65 years
      Total (n = 3,255) Low risk (n = 2,014) Moderate risk (n = 649) High risk (n = 592) P-values Total (n = 1,146) Low risk (n = 638) Moderate risk (n=249) High risk (n = 259) P-values1)
      I eat fewer than two meals per day 1.0 0.0 0.6 5.1 -2) 0.2 0.0 0.2 0.8 -2)
      I have an illness or condition that made me change the kind and /or amount of food I eat 18.7 6.3 35.9 43.6 < 0.001 20.9 7.7 29.2 47.9 < 0.001
      I eat few fruits or vegetables, or milk products 20.7 6.4 36.3 54.2 < 0.001 23.4 4.3 41.9 55.3 < 0.001
      I have tooth or mouth problems that make it hard for me to eat 8.5 0.9 8.2 36.0 < 0.001 15.1 0.5 20.2 49.0 < 0.001
      I don’t always have enough money to buy the food I need 11.8 0.0 5.7 61.0 -a 12.4 0.0 2.9 55.2 -2)
      I eat alone most of the time 34.5 14.1 62.9 75.5 < 0.001 35.2 17.0 49.6 69.0 < 0.001
      I take three or more different prescribed or over-the-counter drugs a day 21.4 5.3 36.5 62.1 < 0.001 29.7 11.5 42.8 65.0 < 0.001
      Without wanting to, I have lost or gained 5 kg or more in the last six months 7.4 0.8 9.3 28.7 < 0.001 4.9 1.1 2.2 17.7 < 0.001
      I am not always physically able to shop, cook and/or feed myself 21.1 2.7 34.6 71.5 < 0.001 26.3 3.7 40.5 72.0 < 0.001
      I have three or more drinks of beer, liquor or wine almost every day 1.3 0.8 2.4 1.7 0.053 1.5 0.9 2.1 2.5 0.271
      Characteristic Category 20–64 years ≥ 65 years
      Moderate risk vs. low risk High risk vs. low risk Moderate risk vs. low risk High risk vs. low risk
      OR 95% CI OR 95% CI OR 95% CI OR 95% CI
      Sex (ref: male) Female 0.95 (0.71–1.26) 0.83 (0.60–1.16) 0.76 (0.47–1.23) 0.96 (0.59–1.56)
      Living arrangement (ref: living with others) Living alone 1.73 (1.21–2.47) 2.09 (1.49–2.94) 1.15 (0.68–1.95) 2.06 (1.23–3.44)
      Household income (ref: Q4) Q1 1.29 (0.85–1.98) 1.87 (1.18–2.95) 0.90 (0.45–1.82) 2.21 (1.12–4.34)
      Q2 1.24 (0.83–1.84) 1.20 (0.76–1.89) 0.82 (0.42–1.59) 0.86 (0.42–1.76)
      Q3 1.12 (0.78–1.62) 0.61 (0.38–0.97) 0.90 (0.44–1.83) 0.80 (0.40–1.60)
      Education (ref: high school graduate or higher) Middle school graduate or less 0.96 (0.72–1.29) 1.11 (0.81–1.52) 1.08 (0.64–1.81) 0.95 (0.60–1.50)
      Disability type (ref: hearing or speech impairment) Physical disability 0.85 (0.56–1.30) 1.09 (0.62–1.93) 2.60 (1.37–4.93) 0.84 (0.43–1.65)
      Encephalopathy 1.21 (0.78–1.87) 1.46 (0.85–2.50) 1.41 (0.71–2.79) 1.02 (0.51–2.03)
      Visual impairment 0.73 (0.43–1.25) 1.02 (0.58–1.81) 1.35 (0.67–2.73) 0.61 (0.29–1.26)
      Intellectual disability or autism 0.87 (0.49–1.56) 0.82 (0.42–1.63) 1.66 (0.32–8.57) 0.38 (0.10–1.42)
      Mental disability 0.99 (0.58–1.67) 0.91 (0.46–1.79) 2.29 (0.88–5.97) 1.50 (0.56–4.02)
      Facial deformity or internal organ disability 1.52 (1.02–2.27) 2.21 (1.31–3.72) 1.03 (0.54–1.95) 0.99 (0.49–2.01)
      Multiple disabilities (ref: no) Yes 0.99 (0.57–1.72) 1.46 (0.86–2.50) 2.15 (0.90–5.11) 0.75 (0.30–1.91)
      Chronic disease (ref: no) Yes 2.53 (1.89–3.38) 2.77 (1.94–3.97) 2.96 (1.55–5.62) 2.82 (1.51–5.25)
      Depression (ref: no) Yes 1.68 (1.28–2.21) 3.93 (2.84–5.44) 1.70 (1.08–2.69) 5.36 (3.30–8.70)
      Perceived body weight (ref: normal) Underweight 1.22 (0.83–1.79) 2.20 (1.50–3.24) 2.46 (1.36–4.43) 2.79 (1.58–4.92)
      Overweight 2.24 (1.58–3.18) 3.45 (2.30–5.15) 1.79 (1.00–3.19) 1.52 (0.80–2.89)
      Smoking (ref: no smoker) Current smoker 1.32 (0.88–1.97) 1.53 (0.99–2.38) 1.22 (0.50–2.97) 1.71 (0.82–3.57)
      Table 1.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aged 20–64 years by nutritional risk

      P-values from Rao-Scott Chi-square tests.

      Including smokers of electronic cigarette.

      Table 2.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aged ≥ 65 years by nutritional risk

      P-values from Rao-Scott Chi-square tests.

      Including smokers of electronic cigarette.

      Table 3. Affirmative responses of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checklist items among disabled persons by age and nutritional risk

      Weighted %.

      The weighted percentage of people who responded “Yes” for each item.

      P-values from Rao-Scott Chi-square tests

      P-values from Rao-Scott Chi-square tests could not be computed because at least one table cell has 0 frequency.

      Table 4. Multivariat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estimating predictors of moderate and high nutritional risk among disabled persons by age

      OR, odds ratio; 95% CI, 95% confidence interval.


      Korean J Community Nutr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Close layer
      TOP